d라이브러리
"벨트"(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14
- 자동차가 있는지, 신호등이 빨간색으로 바뀌는지 알아채지 못하기 때문이다.03 안전벨트 착용!어느 좌석에 앉든지 안전띠를 매는 습관을 갖자. 안전띠는 자동차가 부딪히거나 급정거를 할 때 몸이 튕겨 나가는 것을 막아준다.04 길에서 장난 금지!장난을 치는 도중에 횡단보도를 벗어나거나, 멈추지 ...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413
- 양쪽 어깨와 양쪽 허리를 모두 감싸 가운데에서 고정하는 4점식 안전벨트지요. 6점식 안전벨트가 달린 경주차도 있답니다. 레이싱슈트는 속옷까지 특수 소재경기에 출전하는 레이서는 반드시 레이싱슈트를 입어야 해요. 레이싱슈트는 윗옷과 바지가 하나로 붙어있는 레이싱 전용 옷으로, 불이 잘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12
- 혜성 소행성 성분 얼음과 드라이아이스, 먼지 암석 궤도 대부분 해왕성 너머의 ‘카이퍼 벨트’에 위치. 포물선 궤도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 원형 궤도 특징 태양에 접근하면 핵에서 가스가 분출하며 최대 100만km에 이르는 긴 꼬리가 생김 단단한 고체 표면을 가졌고 대기가 없음 소행성 ... ...
- [hot science] 콘돔, 부끄럽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412
- 돼요. 고무액의 점도를 낮추면, 더 얇은 초박형콘돔도 만들 수 있게 됩니다.”컨베이어 벨트의 중간 지점으로 다가섰다. 거대한 수조 속에 하얀 고무액이 흐르고 있었다.“정말 초박형콘돔으로도 HIV 감염을 막을 수 있나요? 너무 얇아지면 HIV가 그냥 통과해 버리는 건 아닐까요?”공장을 방문하기 전,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10
- 않을지, 과학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네이처’ 기사에 따르면, 이 영역에는 카이퍼벨트에 있는 소천체 전체보다 10~100배 많은 천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내 진정한 끝을 논하고 싶다면, 이 천체들을 먼저 찾고, 또 탐사하는 게 도리일 것이다. 그 전에 함부로 ‘태양계의 끝을 벗어났다’고 말하지 ... ...
- [수학뉴스] 수학자 부자, 퍼즐로 새로운 서체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409
- 만드는 퍼즐을 개발한 것이다.이 서체들은 모두 암호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 체는 검정색 밴드를 생략하면 글자를 숨길 수 있다. 퍼즐을 풀 수 있는 사람만 무슨 글자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연속된 세 점마다 특정한 각도로 선을 고정시켜 만든 ‘링크 체’는 고정된 각도 안에서 ...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과학동아 l201409
- 쏜살같이 흘렀다. 우주비행의 끝을 알리는 알람이 울렸고 나는 다시 자리로 돌아가 안전벨트를 맸다. 점차 낙하속도가 증가했다. 짙은 대기 속으로 들어가면서 공기저항때문에 속도가 다시 줄었다. 고도 33km에서는 6G에 달하는 중력이 발생했다. 하강 시에는 중력가속도가 누워있는 자세에서 가슴을 ...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과학동아 l201409
- 고도 100km까지 올라간 뒤, 대기권에 돌입하기까지 약 5분간 자유낙하한다. 이 때 안전벨트를 풀고 무중력을 경험하면서 창 밖으로 지구와 우주를 내다볼 수 있다. 총 비행 시간은 약 30분. 스페이스십2 모선 타고 올라가 공중에 투하 영국 버진 그룹의 자회사 버진갤럭틱이 개발한 우주선. 두 대의 모선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06
- 탄생할 때 남은 찌꺼기가 뭉친 소천체와, 멀리 태양계 외곽에 있는 혜성의 고향 카이퍼벨트가 후보다.토성 고리에서 새 위성이 태어날까혹시 현재 새로 탄생하는 위성은 없을까. 최근에는 행성의 고리에서도 위성이 탄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새로운 시나리오로 주목 받고 있다. 기체형 행성은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06
- 빛깔. 협곡 너머로 지구의 그림자(검푸른 부분)와 그 위로 핑크빛의 이른바 ‘비너스 벨트’가 선명하다. 날씨가 아주 맑은 곳에서 해가 지는 반대 방향에서 볼 수 있다. 이곳은 35억 년 전의 산화철 퇴적층 사이로 침식이 진행돼 거대한 붉은 협곡이 됐다.광야의 건축가, 흰개미서호주의 ‘필바라’는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