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별
한도
푼수
정도
비율
본령
분류
d라이브러리
"
분수
"(으)로 총 25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과 2개를 5명이 나누려면?
과학동아
l
201408
때문이다.그런데 이를 단위
분수
의 합으로 나타내면 이런 불공평함이 사라진다. 2/5를 단위
분수
의 합으로 나타내면 2/5=1/3+1/15이다. 먼저 사과 2개를 각각 3등분해 크기가 1/3인 조각 6개로 만든 후 한 조각씩 나눠 갖는다. 크기가 1/3인 남은 조각 하나를 5등분하고 1/15인 조각들을 각각 갖는다. 그러면 5명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
수학동아
l
201407
수 자체의 방향성이 자연스럽게 느껴진 듯하다. 또 물건을 쪼개는 작업에 익숙하면
분수
의 개념은 오히려 쉽다. 그런데 한층 더 고등한 사고를 요구하는 것이 무리수다. $\sqrt{2}$만 하더라도 유리수가 아니라는 사실이 역사적으로 사람들을 상당히 괴롭혔다. 그러나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 ...
[생활] 계산을 쉽고 편리하게! 소수점과 순환소수
수학동아
l
201407
사실 그의 이자율표에는 56789/100000처럼 분모와 분자가 모두 큰 수인 경우가 많았다. 이런
분수
꼴은 어느 쪽이 더 큰지 한눈에 알아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테빈은 분모에 0이 몇 개 있는지, 분자가 몇 자리 수인지 동시에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그리고 1585년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
과학동아
l
201405
샘처럼 솟아오르는 ‘용암분천형 분화’로 변한다. 이 기간 완전히 식지 않은 분출물이
분수
의 물방울처럼 포물선 궤적을 그리며 인근 지역으로 흩어져 서로 달라붙고 굳었다.울릉도의 마지막 분화가 언제 일어났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퇴적된 화산재 층을 분석해 보면 네 번째 분화 ... ...
5회 시드니에서 생긴 일!
수학동아
l
201405
문제가 나왔었어. 그리고 시드니 타워에서 고백을 했었지. 그리고 몇 개월 후, 달링 하버
분수
대 바로 이곳에서 수지와 헤어졌어. K가 유인한 모든 장소는 수지와의 특별한 추억이 깃든 곳이라고!”왕 반장의 말을 듣자, 소마는 뭔가 짐작되는 것이라도 있는 듯 눈빛이 날카롭게 바뀌었다. 그리고 왕 ... ...
공부의 적➊ 학습장애 공부 못 하는 천재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5
수학 부호의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 하고 기본적인 산수계산도 자주 틀린다. 또 도형,
분수
, 소수 등과 관련된 문제들을 잘 풀 지 못 하고, 숫자가 포함된 표나 그래프를 이해하는 것도 어렵다. 수학장애가 있는 사람의 약 98%는 읽기나 쓰기장애를 동시에 갖고 있다고 한다.눈이? 마음이? 뇌가 달라 ... ...
[생활] 아르키메데스가 지수 표기법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404
하고, 지수로 음의 정수나
분수
는 사용하지 않고 양의 정수만을 사용했다.음의 정수와
분수
를 지수로 사용한 주인공은 영국의 과학자이자 수학자인 아이작 뉴턴이다. 뉴턴은 1676년 런던왕립협회의 서기였던 헨리 올덴버그에게 자신이 12년 전 발견한 ‘일반화된 이항정리’에 대해 설명하는 편지에 ... ...
÷가 상형문자의 원리로 만들어졌다고?
수학동아
l
201403
나타낸다.예를 들어 35÷23은 35/23 과 같은
분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데, 기호 ÷는 이
분수
의 모양을 추상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가로막대 ─ 위에 있는 35와 아래에 있는 23을 각각 ·으로 바꾸어 쓰면 바로 나누기 기호 ÷가 된다.하마터면 빼기로 사용할 뻔한 기호 ÷. 현재는 당연하게 ... ...
중력 법칙을 위반한 군번줄
과학동아
l
201402
사람이 군번줄 마술을 선보였다. 컵에 긴 군번줄을 담고 한쪽 끝을 밖으로 떨어트리면
분수
처럼 위로 솟아올랐다. 이 신기한 현상의 원리를 다들 궁금해 했으나 명쾌하지 않았다. 최근에야 그 ‘정답’을 영국 캐임브리지대 캐밴디시 연구실의 존 비긴스 박사 연구팀이 ‘왕립학회보A’ 1월 15일자에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높이 200km
분수
가?
과학동아
l
201401
목성의 위성 유로파 남반구에서 높이 200km에 이르는 거대한 물기둥이 얼음 표면을 뚫고 7시간 이상 치솟는 현상이 발견됐다. 유로파는 지구보다 두 배나 많은 바닷물이 있어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큰 곳이다.이번 물기둥은 미국 남서부연구소(SWRI) 로렌츠 로스 박사팀이 허블 우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