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통
부정
d라이브러리
"
불의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뉴스] 수학으로 소설 미리 보기
수학동아
l
201411
중 아직 출간되지 않은 6, 7부의 이야기를 예측할 수 있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얼음과
불의
노래는 인기리에 방영 중인 미국 드라마 ‘왕좌의 게임’ 시리즈의 원작이기도 하다.연구팀은 먼저 한 개 이상의 장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진 주요 인물 24명을 ‘화자’로 뽑았다. 그리고 각 화자가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09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에서는 거대한 소용돌이를 만드는 데 쓰였고, ‘해리포터와
불의
잔’에서는 용의 입에서 나오는 불을 표현할 때 활용됐죠. 최근에는 영화뿐만 아니라 자기공명영상장치(MRI) 같은 의료 영상이나 날씨 예측 등의 다양한 분야에 쓰이고 있어요.이렇게 다양한 분야에 교수님 ... ...
이보다 수학을 사랑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7
제작됐다. 주인공은 64세의 수학박사. 나이는 많지만, 그의 시간은 47세에 멈춰 있다.
불의
의 교통사고로 기억이 80분 동안만 지속되기 때문이다. 80분이 지나면 뇌가 리부팅 되면서 그동안의 기억은 사라져버린다. 소설은 그를 돌보기 위해 파견된 28세의 가정부 교코의 관점에서 전개된다. 영화는 ... ...
사물인터넷 사이보그 세상 연다
과학동아
l
201404
대용량의 데이터를 뇌에 저장해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 주는 일종의 데이터 택배원이다.
불의
의 사고로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받아들인 주인공은 과부하로 죽지 않기 위해 세계 최고의 천재 해커를 찾아간다. 우여곡절 끝에 해커를 만난 주인공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눈앞에 나타난 건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403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아무런 근거가 보이지 않는다. 양자역학을 버릴 수도 없고
불의
장벽도 말이 안 되는 것이므로, 남은 가능성은 그 동안 사용해온 고전적인 블랙홀의 모습 자체가 잘못된 것일 수밖에 없다고 말하고 있을 뿐이다.한편 호킹의 이번 주장은 이미 10년 넘게 회자되고 있는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01
담담하게 새기고 있었다. ‘고인이 됐음.’리 박사는 논문이 나오기 불과 한 달 전
불의
의 교통사고로 유명을 달리 했다. 일리노이주의 한 고속도로에서 마주 오던 트레일러가 중앙선을 넘어 그의 차를 덮쳤다. 결과적으로 사고 한 달 전에 투고한 이 논문은 그의 유고가 되고 말았다. 너무나 ... ...
[독자탐방] 똑똑한 길을 만드는 교통신호체계의 비밀
수학동아
l
201309
횡단보도가 18m인 경우 깜빡이는 시간이 23초로 길어지죠.권도연 : 그렇다면 횡단보도 빨간
불의
시간은 어떻게 정하나요?안소영 대리 : 빨간불은 차를 위한 시간이에요. 따라서 교통량을 기준으로 세우는데, 교통량은 현장에서 직접 조사를 해요. 교통량이 많으면 횡단보도의 빨간불이 길고, 차가 별로 ... ...
구글카페
과학동아
l
201306
교수가 참석해, 독자와 과학과 기술, 미래에 대해 진지한 대화를 나눴습니다.
불의
의 사고로 장애인이 됐지만 활발한 대외활동을 하며 역경을 극복한 이야기도 진솔하게 해, 가족이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부 참여자들이 마음을 열고 속깊은 고민을 털어놓기도 했습니다.구글의 정보기술도 ... ...
개성 만점 로봇 3인방 더 자이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4
순수한 로봇이란다.
불의
의 사고로 지금은 두 개 밖에 없지만 원래 팔이 열 개였어.
불의
의 사고가 뭐냐고? 뚜렷하지 않지만 행성에서 거대한 전쟁이 일어났던 기억이 나.그리고 정신을 차려 보니 이런 모습으로 있지 뭐야. 쇠사슬 같은 끈으로 저 녀석과 연결된 채 말이지.무무지금 내 말하는 거야?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04
유일하게 구글 무인자동차에 탑승해 본 서울대 이상묵 교수를 만났다. 이 교수는
불의
의 사고로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장애인이지만 아직도 연구와 후학 양성에 열정을 불사르고 있다.“무인자동차는 위성항법장치(GPS)와 센서 및 레이더 기술이 집약돼 있습니다. 지난해 7월 무인자동차 탑승과 방송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