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체
연마지
샌드 페이퍼
수족
절터
지기
기운
d라이브러리
"
사지
"(으)로 총 18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
과학동아
l
201309
몇 달 뒤인 지난해 12월에는 앤드류 슈왈츠 피츠버그대 교수팀이 얀 소이어만이라는 여성
사지
마비 환자의 운동피질 신경 신호를 해독해, 도노휴 교수 연구팀보다 두가지의 움직임이 더 가능한 7-자유도의 로봇팔을 제어하기도 했다. 커피를 집어 올리고, 옆 사람과 하이파이브를 하거나 초콜릿을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
과학동아
l
201307
➋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새로운 신형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인간처럼 생겼지만,
사지
를 모두 팔과 다리로 바꾸어 가며 쓸 수 있는 변형 인간형 로봇이다. JPL팀은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를 만든 곳이다.➌ 우리나라에서 주목해야 할 팀은 미국 드렉셀대 연구팀이다. 이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
과학동아
l
201306
것을 써서 두피의 전기장 변화를 잰다. 지난해 미국 브라운대 연구진은 이 방식을 사용해
사지
마비 환자가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움직였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비침습식은 부정확하다. 수백, 수천 개의 전기적 신호가 합쳐져 두피 밖으로 나오는 것을 읽기 때문이다. 게다가 온갖 기계와 무선통신이 ... ...
[통계이야기] 고객 맞춤 서비스에는 통계가 있다!
수학동아
l
201305
날처럼 기념일을 위해 선물을 사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물건을 구입할 때 아무거나
사지
않습니다. 가격과 품질을 비교해 가장 좋은 물건을 사려고 하죠. 따라서 판매자는 만든 제품을 어떻게 하면 소비자들이 사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합니다.그렇다면 물건을 팔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장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
과학동아
l
201305
키 크는 최후 비밀본인이나 자녀가 또래 보다 키가 작아 고민이라면 성장호르몬 주사나
사지
연장수술을 고려하기 전에 먼저 적정량의 수면을 취하고 있는지 점검해보자. 남효경 교수는 “7~8시간은 성장을 위해 꼭 숙면을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야간자율학습 등으로 청소년의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04
받게 됐다.“청각장애인에게 가장 혁명적인 도구가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입니다. 저처럼
사지
를 움직이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무인자동차는 꿈과 같습니다. 무인자동차가 대중화되면 운전면허증이 필요 없어질지도 모릅니다. 장애인 처지에서 목적지에 저를 내려주고 차가 알아서 주차장으로 가 ... ...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인조인간 탄생
과학동아
l
201303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인조인간 탄생각지 연구소에서 조달받은 인공 장기와
사지
로 만든 100만 달러(약 10억 원) 짜리 인조인간 렉스.손상된 장기와 팔 다리를 대체할 수 있는 최신 기술을 렉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수중동물에 다리 생긴 비밀
과학동아
l
201301
진화할 수 있었던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또 고메즈 박사는 “유전적 문제 때문에
사지
발달에 기형을 안고 태어나는 사람들은 Hoxd13 유전자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셀’의 자매지 ‘디벨럽멘탈 셀’ 12월 11일자에 발표됐다 ... ...
내가 뽑은 차세대 전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7
전투기를 만들 계획을 가지고 있어요. 계획대로 개발하면 2020년에는 외국에서 전투기를
사지
않고 우리가 만든 전투기로 하늘을 지키게 될 거예요. 과학자를 꿈꾸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여러분이 커서 제 뒤를 이어 세계에서 으뜸 가는 전투기를 만들어 주세요 ... ...
화려한 나비 날개가 품은 독
과학동아
l
201211
색을 가진 열대 나비의 날개를 잘못 만졌다가는
사지
를 못 쓰게 될 지도 모른다. 바다달팽이가 쓰는 것과 같은 종류의 독소가 발견됐기 때문이다.오스트리아 비엔나 의대 배낙현 박사팀은 열대 나비 ‘그라우시페 끝주홍나비(Hebomoia glaucippe)’의 날개에 있는 독 성분이 바다달팽이로 불리는 ‘고둥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