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금"(으)로 총 2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03
- 얼마나 큰 차이인가?감 꽤 큰 차이다. 한국 기원에 프로 기사가 300명 정도인데, 이 중 상금으로 생활하는 기사는 50명 정도다. 그런데 이보다 실력이 떨어지는 100위권 기사가 이세돌에게 한두 점을 깔고 바둑을 두면, 이세돌을 꺾을 수 있을 정도다.준 그럼에도 알파고가 유럽챔피언을 꺾을 수 있었던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03
- 자리나 더 길다. 이번 발견으로 쿠퍼 교수는 총 4개의 새로운 소수를 찾았고, 3000달러의 상금을 거머쥐게 됐다.이번에 찾은 소수는 49번째 ‘메르센 소수’이기도 하다. 메르센 소수란 17세기 프랑스의 수학자였던 마랭 메르센의 이름을 딴 소수로, 2의 거듭제곱에서 1을 뺀 모양의 소수를 의미한다.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01
- 7개를 뽑아 발표하면서 그 중 어떤 문제든 푼 사람에게는 100만 달러(한화 11억 5630만 원)를 상금으로 주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 중 하나가 P≠NP인지 P=NP인지 증명하라는 문제입니다. P가 특정한 횟수 안에 풀 수 있는 문제의 집합이라면, ‘NP’는 문제의 풀이과정을 보고 그 문제의 답이 맞는지 특정한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01
- 도전했지만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 몇몇 수학자의 정신을 앗아간 악마의 문제. 100만달러 상금이 걸린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 1859년 독일의 천재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세운 가설. 바로 리만 가설이다. 리만 서거 150주년을 맞아 수학자를 사로잡은 마력의 난제를 소개한다.희대의 거짓말, “리만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11
- 주겠습니다.”83년 전 폴 에르되시는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라는 정수론 문제를 내고 상금을 걸었다. 이후 많은 수학자들이 이 문제에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말았다. 문제 자체는 그리 어려워 보이지 않았지만, 막상 풀려고 하면 어떻게 문제에 접근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이다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당구공을 제조하는 회사는 상아를 대신할 새로운 재료를 찾는 공모전을 열었어요. 상금은 1만 달러, 지금 우리 돈으로 2억 원에 달했답니다.이 공모전에 적극적으로 도전한 사람은 미국 뉴욕에서 인쇄공을 하던 존 웨슬리 하이엇이었어요. 스스로 발명에 재주가 있다고 생각한 하이엇은 자신의 ... ...
- [수학뉴스] 소프트웨어로 날다, 주니어 소프트웨어 창작대회수학동아 l201509
- 소프트웨어와 데모 영상을 제출해야 한답니다. 최종 합격한 팀들은 총 5700만 원 상당의 상금과 부상을 받는 것은 물론, 소프트웨어 작품을 1주일간 삼성전자에 전시할 수 있어요. 또 글로벌 컨퍼런스에 참가하거나 전문가와 1:1 심화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도 생긴답니다 ... ...
- [Hot Issue] 통계물리학 실험실에서 찾은 더 지니어스 생존법과학동아 l201509
- 있다. 주최 측에서 사람들이 고른 숫자 평균의 3분의 2에 가장 근접한 값을 고른 사람에게 상금을 주기로 한것이다. 조건이 없이 충분한 수의 사람이 투표에 참여한다면 평균은 결국 50에 수렴할 것이다. 이것을 근거로 50의 3분의 2인 33을 선택해야 할까. 아니면 33까지는 다른 사람이 생각을 할 테니, 3 ...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수학동아 l201507
- 아벨상 공동 수상을 발표했다. 노르웨이 왕가가 2003년부터 시상해 온 아벨상은 상금이 노벨상과 비슷한 수학 분야의 상으로, 최고의 수학자들이 받아왔다. 필즈상과 달리 나이 제한도 없다. 필즈상과 아벨상을 모두 받은 학자는 세 명이지만, 노벨상과 아벨상을 모두 받은 사람은 내쉬가 유일하다. ... ...
- 당신의 박사학위는 발레? 힙합?과학동아 l201507
- 4개 분야에서 각각 5개 이하의 우승작을 선발한다. 전문성과 예술성, 창의성을 평가하며 상금은 500달러다. 지난해에는 ‘대형 토네이도가 지나간 이후의 숲과 토양의 변화’ 연구를 공중그네 춤으로 표현한 미국 조지아대 우마 나젠드라가 대상을 차지했다. 2014년에는 ‘형제 여부에 따른 정자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