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이제는 함께 토론하며 수학 공부하자!
수학동아
l
201606
혼자 연구하지 않습니다. 세계 곳곳의 학회에 참석하며 다른 수학자를 만나 학문적
시야
를 넓히기도 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기도 합니다. 이처럼 수학은 여러 사람이 함께 연구하고 공부할 때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그동안은 수학자들처럼 친구들과 함께 수학을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가 ...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
수학동아
l
201604
피아치는 세레스를 41일 동안 관찰하며 22개의 관찰 자료를 만들었어. 이후 세레스는
시야
에서 사라져버렸고, 피아치를 포함한 어떤 천문학자도 한동안 세레스를 찾아내지 못했어. 다음에 나타날 위치를 계산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정보니까.”“그럼 아저씨가 찾았다는 건가요?”“나도 세레스의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과학동아
l
201604
있다. 우주 플라스마가 품고 있는 난제를 풀었을 때 우리는 우주와 인류에 대해 더 큰
시야
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우주 플라스마를 관측하고 연구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플라스마 엔지니어링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Part 2. 우주는 거대한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
과학동아
l
201604
“LSST의 가장 큰 장점은 우주를 빨리 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LSST는 15초에 한 번씩
시야
각 3도, 면적으로 9.6제곱도(square degree)에 해당하는 영역을 빠르게 찍을 수 있다. 보름달의 지름이 약 0.5도니까 달이 6개 가량 일렬로 늘어선 것을 한꺼번에 찍는 셈이다. 이런 속도면 3일에 한 번씩 남반구 하늘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02
된 관 모양의 장비로, 시체를 바닥부터 감싸 뚜껑만 닫으면 바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시야
가 나쁠 때 시체낭을 뒤집어씌우는 과정에서 상처가 생기는 일을 막을 수 있다. 해경의 신승용 경위는 “수중고고학에서 사용하는 사이드스캔소나와 무인잠수정을 과학수사에도 사용하면 수색효율을 훨씬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02
특정 위치에서 보면 마치 흔한 사각형 좌표 위에 그린 그림처럼 보이는 거지요. 이렇게
시야
를 계산하면 의도한 그림이 잘 보이는 위치와 그렇지 않은 위치를 알 수 있어요. 많은 관객이 착시 그림을 가장 잘 볼 수 있도록 작품을 전시하는 것도 착시 설계자의 중요한 덕목이랍니다.일본 메이지대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02
*3 초마다 습기를 유지하기 위해 눈꺼풀로 닦아줘야 하는 안구는 불편하기 짝이 없었다.
시야
는 터무니없이 좁았고, 무엇보다 다양한 드론과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황을 관찰할 수 없다는 게 갑갑하고, 불안했다.물론 기지의 인공지능은 내가 육체에 들어와 있는 동안 대부분의 임무를 문제 ... ...
[News & Issue]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
과학동아
l
201601
중에 골목에서 갑자기 사람이 튀어나온다면? 생각만으로도 아찔한 사고에 대비해
시야
가 닿지 않는 곳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눈으로 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영국 헤리엇와트대 제네비에브 가리에피 교수팀은 바닥에 레이저 빔을 쏜 뒤 물체에 부딪쳐 산란된 레이저를 검출해 물체의 위치를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
과학동아
l
201601
또박또박 암송하며 뒤를 따랐다.꼭대기인 13층은 보라색 안개로 채워져 있었다. 하지만
시야
를 가릴 정도는 아니었으며 그마저도 점점 옅어지고 있었다.방은 거대했다. 무도회장처럼 넓었고 교회처럼 높았다. 실제 넓이만큼 방이 커 보이지 않은 건 방 안의 모든 것들이 거대했기 때문이었다. 문,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
이때
시야
각은 100˚나 돼요. 사람의
시야
각은 한쪽 당 45˚씩 총 90˚ 정도이기 때문에
시야
각이 100˚가 되는 오큘러스 리프트를 쓰면 마치 게임 세상 속에 들어가 있는 느낌이 든답니다. 여기에 센서와 가속도계, 나침반이 게임기를 착용한 사람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해 움직이는 방향이나 시선에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