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둠
컴컴함
암흑계
불투명체
야음
어두움
검음
d라이브러리
"
암흑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대대손손 빛을 잃은 초파리 “믿을 건 냄새뿐”
과학동아
l
201603
흑 상자에 넣어 2007년 임종하기 전까지 키웠다. 2007년 연구를 이어받은 후세 박사는 2012년
암흑
에서 자란 노랑초파리의 DNA를 분석했다. 보통 초파리와 비교해 DNA 수천 곳이 달라졌고, 단일유전자변이(SNP)도 22만 개가 발견됐다.후세 박사팀은 유전자 변이가 초파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추가로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03
관련된 연구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우주의 95%를 채우고 있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도 중력파로 연구할 수 있는 대상이다.앞으로 더 많은 중력파 검출기가 만들어지면 인류는 우주를 더욱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눈을 갖게된다. 라이고 프로젝트에 재정을 지원한 미국 국립과학재단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02
다른 일이 생기지 않는 한 계속 케플러 64의 등대를 관찰할 생각인가요?’*먼 옛날 인류가
암흑
물질이라고 대충 명명한 새 입자들의 토양에는 수많은 미세 웜홀이 있었다. 공식 명칭은 따로 있었지만 군대에서는 미세 웜홀을 개미굴이라고 불렀다. 개미굴을 통해 함대를 보낼 수는 없었지만, 작은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01
없다. 우리가 알고 있는 표준모형의 입자는 우주 전체 에너지의 약 5%에 불과한 반면,
암흑
물질은 우주 전체 에너지의 약 26.8%를 차지한다. 분명한 것은 우리가 아직 우주의 95%를 모른다는 사실이다. 표준모형 ‘너머’가 더욱 기다려지는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01
CMS)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 연구팀 대표인 최수용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
암흑
물질의 질량이 수 TeV 정도라면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지난해 6월부터 10월 말까지 실험한 데이터에서 현재 그 흔적을 찾는 중”이라고 말했다. LHC 실험은 2037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새로운 가속기와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
과학동아
l
201601
후보인 윔프와 액시온을 제안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약력과 전자기력을 통합하고
암흑
물질을 구체적으로 예측했다는 점에서 와인버그 교수는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의 선구자 중 한명이라고 볼수도 있다. 특히, 그는 고(故) 이휘소 박사와 함께 윔프를 제안하는 논문을 썼고, 논문은 이 ... ...
암흑
물질 발견, 이번에는 진짜?
과학동아
l
201511
많고, 외곽에는 데이터가 적은 것도 예측과 정확히 일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아직
암흑
물질이 완전히 증명된 것은 아니다.미국 캘리포니아대 케보크 아바티얀 교수는 사이언스와 인터뷰에서 “비활성중성미자가 아닌 다른 물질 때문에 만들어진 데이터일 수도 있다”고 밝혔다 ... ...
[친절한 우아씨의 똑똑한 데이트 11] 사랑은 도파민으로부터
과학동아
l
201511
정보의 약 80%를 차지하는 시각 정보를 아예 차단하는 곳이야.” 바로 서울 신촌에 있는 ‘
암흑
카페’입니다. 스마트폰처럼 빛을 내는 소지품을 모두 맡긴 채,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식사하고 대화를 나누는 이색 카페이지요. 소년과 소녀가 토마토 소스 파스타를 시켜놓고 낄낄댑니다. “입으로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10
있는 상수들의 값을 어떻게 정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마지막 문제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를 설명하는 것이다.1980년대 이래로 여러 형태의 초끈 이론을 발표한 과학자들은 초끈 이론이 모든 것의 이론이라 주장하고 있다. 1984년 존 슈워츠와 마이클 그린이 시발점이었다. 그들은 초대칭이 ... ...
[과학뉴스] 초대칭이론은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201509
완성한 가장 정교한 우주 모형은 ‘표준모형’이다. 그런데 표준모형으로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를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초대칭이론’처럼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나왔지만, 아직 증명된 바는 없다. 일부 과학자들은 6개의 쿼크 중 바닥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