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야"(으)로 총 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02
- 첫 번째 프로젝트로 작은 해초 숲이 탄생했다.그를 비롯해 이 지역 사람들은 해초를 심어야만 바다가 살아난다고 믿고 있다. 해초는 듀공이 좋아하는 먹이일 뿐 아니라 물고기와 오징어가 알을 낳는 보금자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힌 팜스테이는 해초 모종을 7만 개 심는 게 목표다.탐사 여섯 ... ...
- 엘븐데일로 모험을 떠나자! 레고® 엘프어린이과학동아 l201524
- 물속을 걸을 수 있는 물의 엘프 ‘나이다’, 만들기를 좋아하는 바람의 엘프 ‘아이라’야.우리는 곧 좋은 친구가 되었어. 그리고 네 명의 엘프들은 내가 집으로 무사히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 주겠다고 했어 ... ...
- 수증기로 슝~! 꼬마 증기선어린이과학동아 l201523
- 물레방아를 돌리면 물레방아가 물을 뒤로 밀어내서 증기선이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거야. 클러몬트 호는 시속 7.5km의 속도를 자랑했어. 당시 바람의 힘으로 나아가는 배인 범선보다 3배 이상 빠른 속도였다니 정말 대단하지?당시 놀라운 기술이었던 증기기관은 이후에 디젤기관이 개발되면서 지금은 ... ...
- Part 2. 닭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22
- 추측했답니다. 닭이 날지 못하는 이유학자들은 사람들이 고기를 먹기 위해 적색야계를 길들이기 시작한 건 아니었을 거라고 추측해요. 발톱을 이용해 싸움용으로 길들이거나, 아침에 우는 특성을 바탕으로 귀신을 쫓는 수호신으로 삼았다는 거지요. 하지만 곧 닭을 식량으로 삼았고, 고기를 얻기 ... ...
-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21
- 지금 명태를 돌봐 줘야 다시 명태가 동해로 돌아올 테니까 말이야. 모두 함께 노력해야 우리 밥상에서 명태를 다시 만날 수 있겠지? 친구들도 나와 함께 명태를 살리는 데 계속해서 관심을 가져 줄거지 ... ...
- PART1. 영화로 보는 화성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20
- 그러니까 마크 와트니가 스키아파렐리 분화구까지 가려면 한반도를 3번 이상 달려가 야 하는 거지요. 지구에서도 그만한 거리를 차로 가 면 힘든데, 화성에서는 정말 힘들겠죠?마크 와트니는 현재 두 대의 로버를 갖고 있어 요. 그는 미국항공우주국의 지시에 따라 한 대는 이동용, 다른 한 대는 생명 ... ...
- 만화로 창의력 쑥쑥! 가족 사랑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510
- 것이 더 중요하다는 거지요. 또 만화가뿐만 아니라 만화 기획자가 되는 것도 좋다는 이야기를 덧붙이셨답니다.이날 부모님이 우리를, 우리가 부모님을 그려 보는 시간도 있었사옵니다. 이렇게 서로를 그리며 함께 대화하다 보니 가족 사랑도 퐁퐁 솟아났지요. 기자단 여러분들의 창의적인 그림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10
- 움직이는 곤충을 관찰하는 즐거운 첫걸음이다.우리 땅에서도 파브르 곤충기 나와야수백 년 동안 곤충연구가 진행된 프랑스와 달리 우리의 곤충연구 역사는 60여 년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곤충은 약 1만4000여 종이 밝혀졌지만 아직도 발견하지 못해 이름을 붙이지 못한 곤충들이 무수히 ... ...
-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2]과학동아 l201507
- 선배, 저 진짜…, 어떡해요? 난 여자가 있는데… 고기는 복사 열 나오는 숯불에 구워야 제맛(그렇게 2시간 후. 소년, 탁자를 내리치며 주정을 부린다.) “이모, 이모! 여기 숯불 줘요, 숯불! 가스불로 구우면 고기가 맛이 없단 말이에요~.” (선배, 소년의 손을 붙들고 말린다. 하지만 소용 없다.) ...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과학동아 l201506
- 반도체를 가공하는 기술을 이용해 섬모를 만들었는데, 접착력이 부족했다. 다른 분야에 쓰던 공정을 그대로 사용해서는 섬모 끝의 주걱같이 생긴 구조를 따라 만들 수 없었던 것이다. 알고 보니 이 주걱 구조가 접착력의 핵심이었다.당시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정 교수는 기존 반도체 공정에 자외선을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