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양분
영양
자양분
이분
영양물
상반
자양물
d라이브러리
"
양분
"(으)로 총 249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4
있는 나무 세포를 먹는다”며 “세포가 마치 구멍 난 빨대처럼 파괴돼 소나무가 물과
양분
을 빨아들이지 못한다는 게 가장 유력한 설”이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과민반응으로 세포가 자살한다는 설, 소나무재선충 독소에 의한 스트레스 설 등이 있다. 김동수 박사는 “꼭 지켜야 할 나무에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
과학동아
l
201503
임산부의 몸은 면역력을 바닥 수준까지 떨어뜨린다. 엄마와 태아를 잇는 태반은
양분
은 통과시키지만 피는 섞지 않도록 만들어 준다. 엄마와 태아가 모두 안전하게 버틸 수 있다.이처럼 바이러스가 숙주에게 도움을 주는 상태는 바이러스의 증식과 숙주의 면역반응이 적정 수준을 매우 섬세하게 ... ...
PART 5. 무엇이 매머드 왕국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502
속의 영
양분
이 씻겨 내려갔기 때문이다. 이 지역 은 툰드라 지역으로 변했다.이끼와, 영
양분
이 거의 없는 사초류(부피 생장을 하지 않고 벼나 보리처럼 길이 생장만 하 는 식물)가 풀 대신 자라기 시작했다. 매 머드는 이끼와 사초류를 먹긴 했지만 영 양이 부족했다. 빙하기가 끝나는 시기에 발견된 ... ...
Part 3. 도시의 녹지는 섬처럼 조각조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1
수 없어. 이 때문에 지하수가 부족하고, 밖으로 나와 있는 토양도 매우 건조해. 토양의
양분
도 부족해서 식물이 뿌리 내리기 어려워.게다가 도시의 공기는 많이 오염돼 있잖아. 배기가스에서 나온 이산화황 같은 오염물질이 공기 중에 가득하지. 이런 물질이 비에 녹아든 산성비가 다시 지하수와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1
섞은 뒤 천으로 덮어 두면 60℃까지 오른다. 이때 미생물들이 낙엽을 분해하면서 식물에
양분
이 되는 유기물을 만들어낸다. 잘 섞어 주면서 수분을 보충해 주고 1년 정도만 기다리면 낙엽 퇴비 완성!2013년 10월 20일 충청북도 제천시청 산림공원과에서는 낙엽 5kg을 가져오면 1500원을 주겠다는 공고를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선인장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8
선인장’이라고 부른답니다. 접목 선인장은 크기가 너무 커져서 아래 몸체가 주는
양분
이 부족해지면 죽기 때문에 다른 선인장만큼 오래 살 수 없어요. 하지만 다양한 형태와 색 때문에 관상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지요.비밀3 선인장은 내버려 둬도 잘 자란다?최마리 : 선인장은 참 알면 알수록 예쁜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
과학동아
l
201406
새싹이 나오지요. 한 자리에서 몇 년씩
양분
을 빨아들이는 것보다 옆의 기름진 토양에 서
양분
을 얻는 것이 더 나을 테니, 아주 현명합니다. 국립생태원에서장금이 요리 맛보세요!"알면 사랑한다" 우리 들꽃 이야기충남 서천 국립생태원에서 대장금 이야기와 함께 우리 들꽃을 탐험할 기회가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
씨앗이자 열매인 씨앗을 ‘소견과(nutlet)’라고 불러. 씨앗은 새싹을 틔우기 위한 영
양분
이 많이 들어 있어서 먹으면 몸에 좋대! 특히 호두와 잣은 두뇌에 좋다고 하니 매일 조금씩 먹어보는 건 어때?먹으면 안 되는 씨앗안녕, 난 사과 씨야. 맛있는 씨앗 친구들도 있지만 나처럼 먹으면 몸에 좋지 않은 ... ...
산호의 털이 만든 화려한 소용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5
미국 국립과학재단(NSF)과 국제학술지 가 ‘2013 비주얼라이제이션 챌린지’에서 우수한 과학 이미지를 뽑았어요. 사진은 미국 MIT(메사추 ... 찍어 겹친 뒤 색깔을 입혔어요. 산호는 이렇게 털을 움직이면서 물속에 들어 있는
양분
을 빨아들이고 몸속에 있는 노폐물을 내보낸답니다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l
201404
결합해 ‘내배유’, 즉 식량저장고를 만든다. 자식이 싹을 틔울 때를 대비해 엄마 꽃이
양분
을 미리 저장하는 것이다. 이를 ‘중복수정’이라고 하며, 옥수수 같은 곡식 낱알이 바로 이 식량저장고다. 러시아 식물학자 세르게이 나바친은 1898년 최초로 꽃의 중복수정을 발견했다.내배유에는 기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