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개
높은 곳
고갯마루
영마루
고비
구릉
산
d라이브러리
"
언덕
"(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
수학동아
l
201502
합창하는 무리가 지나면 다른 무리가 오고 그 무리가 지나면 다른 무리가 끊임없이
언덕
길을 올라와 신사 안으로 들어갔다. 어디에서 이렇게 많은 젊은 사람들이 오는 것일까?영화 같은 겨울 축제밤이 깊어가니 신사 마당에 높이 쌓여 있던 소원 나무판에 누군가가 불을 지폈다. 함께 쌓여 있던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의 모래
언덕
과학동아
l
201501
형성될 수 있는지 살폈다. 그 결과 이제껏 지구와 화성, 금성에서만 발견됐던 모래
언덕
이 타이탄의 조건에서도 충분히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12월 8일자에 발표됐다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12
약 1만3000년 전 화성에서 지구 남극에 떨어졌는데, 1984년이 돼서야 앨런힐(Allan Hill)이라는
언덕
밑에서 발견됐어.처음에는 인간들이 나를 몰라보고, 소행성에서 온 운석으로 분류해놨지 뭐야! 다행히 1993년에 인간들이 내 고향을 밝혀냈어. 왜 처음부터 알지 못했냐고? 난 좀 독특한 몸이거든. 흔한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12
크기는 변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수컷에게만 영향을 미친다고 하더라도 작은
언덕
만한 수코끼리와 고양이만한 암코끼리가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이런 관계를 일부 학자들은 ‘유전 상관(genetic correlation)’으로 설명했다. 같은 종의 암컷과 수컷은 대부분의 유전자를 공유하기 때문에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410
속 공기는 좀처럼 식을 줄 모른다. 야영지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대부분은 캠프 근처
언덕
에 설치된 세 개의 태양전지판에서 얻는다. 용량이 작아 생각 없이 전기를 쓰면 밤에 불을 켤 수 없게 된다. 전기를 많이 먹는 전자레인지는 태양이 하늘 높이 있을 때만 사용할 수 있다. 인공위성을 이용해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10
너머 무엇이 있는지 보고자 길을 떠난 주인공이 지평선의 끝에서 만난 것은, 또다른 모래
언덕
과 지평선이었다. 경계 너머는 또다른 경계였다. 태양계의 끝을 찾는 이들이 마주친 풍경이 이와 다를까 ... ...
[화보] BODY PAINTING 사막에서 온 그녀
과학동아
l
201409
아름다운 몸 위로 드넓은 사막이 펼쳐져 있다. 거대한 모래
언덕
과 오아시스 사이로 먼 여정을 떠나는 낙타와 사람들이 보인다. 낮게 깔린 하얀 구름과 그 위에 풀어진 파란 하늘이 눈부시다. 수시로 모래폭풍이 휘몰아치는 사막이지만, 이 순간만큼은 세상 그 무엇보다 고요하고 평화롭다. 몸 위에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09
몇 년 전에는 일본 아마추어 팀에서 중요한 공룡 알 화석을 처음 발굴하기도 했다. “
언덕
을 기어올라 고개를 드니 바로 아래에 둥근 원이 여러 개 보였어요. 마침 전날, 동행한 고바야시 교수에게 공룡 알에 대해 설명을 들은 참이었죠. 얼른 고바야시 교수를 불렀어요.”일본 히로시마에서 교사로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
수학동아
l
201407
대한 개괄적인 설명 후에 다음과 같은 4가지 주제를 제시했다.❶ 공간의 미세적인 구조가
언덕
과 웅덩이의 결합처럼 구겨져서, 보통 공간기하의 원리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❷ 이런 공간의 곡률은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파동처럼 전해진다.❸ 관측할 수 있는 물체의 운동은 이런 곡률의 변환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406
지형을 육지에서 볼 수 있는 곳은 세계에 단 두 곳이라고 한다. 땅에 철 성분이 많아서
언덕
윗부분이 검붉다.➑ 카리지니국립공원에서 은하수와 개미집을 담았다. 개미집에 붉은 조명을 비춰서 잘 보이게 찍었다. 권오철권오철 천체사진가는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를 졸업했고 NASA의 ‘오늘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