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복
높낮이
고저
d라이브러리
"
요철
"(으)로 총 68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로의 심장 교차로
과학동아
l
199904
부시게 된다. 따라서 도로표지용 페인트에서는 반사를 없애기 위해 페인트 도막 표면에
요철
을 만들었다. 이는 건조시 굴곡이 생기도록 한 것으로 빛을 받으면 산란돼 눈부심을 막은 것이다.3. 중앙선 지킴이 코너큐브 프리즘중앙선은 넘어서는 안될 생명선으로 비유된다. 따라서 가장 명시성이 높은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
과학동아
l
199902
둘째, 앵커 효과라고 불리는 기계적인 힘 때문이다. 접착제가 굳으면 물질 표면의
요철
에 걸쇠처럼 걸려 떨어지기 어렵다는 얘기다.순간접착제가 다른 것에 비해 더 빨리 붙는 이유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순간접착제라도 붙는 원리는 보통 접착제와 같다. 하지만 굳는 속도가 대단히 빠르다는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09
서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약속'이 전제돼야 한다. 마치 자물통과 열쇠가 구조적으로
요철
이 잘 맞는 것처럼 단백질과 이와 접촉하는 분자는 구조(특히 표면의 특정한 부분의 구조)와 전하 분포가 서로 꼭 맞게 돼 있어 수많은 분자들 중에서 궁합이 잘 맞는 짝을 선택적으로 찾아낼 수 있다 ... ...
② 인체에 어떻게 영향미치나
과학동아
l
199807
부위는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다. 호르몬과 수용체의 관계는 열쇠와 자물쇠(또는
요철
)의 결합 관계와 유사하다. 호르몬의 특정 부위(열쇠)가 수용체(자물쇠)에 성공적으로 결합하면 이 신호가 세포 내 유전자에 도달해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몸에 필요한 단백질이 ... ...
과학지식의 야구 산교육장
과학동아
l
199804
생겨 공을 뒤쪽으로 잡아 당기기 때문이다. 초기 고무 야구공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요철
을 만들었다(과학동아 97년 5월호 ‘골프공은 왜 곰보일까’ 참조). 그 반대로 공이 꺼끌거리면 그만큼 속도는 더 난다. 이 때문에 투수들은 어떻게든 공에 상처를 주려 하지만, 이는 룰에 어긋나는 행동. 야구 ... ...
식인상어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08
큰 수정체를 가지고 있어서 먼 거리에 있는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물체의
요철
과 색깔을 파악하는 능력은 뒤떨어져 있다. 많은 사람들이 상어의 시력은 매우 나쁘다고 알고 있는데, 이는 잘못이다.상어를 관찰해 보면 특이한 습성을 발견한다. 먹이를 만나면 상어는 꼭 코로 밀어본다. ... ...
생리·의학상/도어티, 친커나겔
과학동아
l
199611
감염된 세포를 인지하고 죽이기 위해서는 T세포 표면(수용체)과 감염세포 표면(항원)의
요철
부위가 잘 맞아떨어져야 한다. 한가지 모델은 감염된 세포 표면에서 주조직적합항원이 바이러스로부터 파생된 단백질(항원)과 결합해 모양이 변한 뒤 다시 분리되고, T세포 수용체가 이들을 각각 ... ...
소행성들, 가니메데 무차별 폭격
과학동아
l
199610
커다란 조각들로 쪼개져 서로 떨어져 있기도 하지만, 대개는 퍼즐 맞추기 조각들처럼
요철
이 잘 들어 맞는다. 아리조나 주립대의 R. 그릴리 박사는 에우로파 얼음층 아래에는 약간 녹아서 미끄러운 얼음이 있거나 극단적으로 물이 있을 수도 있다고 예견한다. 이러한 추론은 또다시 생명체에 관한 ... ...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09
많았다.극남노랑나비는 날개끝 검은 띠가 둥근 반면 남방노랑나비는 검은 띠가
요철
을 이루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어렵다. 그런 줄도 모르고 대원들은 검은 띠가 없는 노랑나비가 극남노랑나비인 줄 잘못 알고 찾아 헤맸던 것이다. 나비도감을 세밀히 볼 필요성을 느꼈다.하도양어장은 맑은 지하수를 ... ...
초광폭 타이어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608
케이스. 이전에 사용하던 70시리즈 타이어보다 접지면적은 넓어졌지만 도로의 조그만
요철
에도 차가 튀는 등 오히려 승차감이 나빠졌다.얻는 것이 있으면 당연히 잃는 것도 있는 법. 타이어의 편평비가 낮아질수록 같은 크기의 타이어에 비해 트레드부분은 넓어진다. 하지만 예를 들어 100시리즈보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