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
미네랄워터
미네랄
미네럴
water
수
d라이브러리
"
워터
"(으)로 총 9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라뱃길 이야기마당
과학동아
l
201109
아라뱃길 벽에 새기는 행사다. e메일과 우편으로 작품을 보내면 자기 타일에 담아 귤현교
워터
프론트의 벽에 붙일 예정이다. 30명 이상이 단체로 참여하면 경인 아라뱃길 사업본부에서 그리기 지도를 받아 직접 벽에 그림을 그릴 수도 있다. 아라뱃길 이야기마당은 어린이와 청소년뿐 아니라 성인도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07
별명을 가진 수영경기장(사진)이다. 비누거품 모양의 막 634개가 표면 전체를 감싸는
워터
큐브는 비눗방울 연구가 실용화된 대표적인 사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비눗방울 수학이 방울방울~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06
해체하는 작업입니다. 절반 정도 진행됐습니다.”한국수자원공사(K-water, 케이
워터
) 시화조력관리단 손중원 차장이 설명했다. 손 차장은 수차발전기 설치 작업을 직접 감독했다. 수차 발전기(터빈)는 조력발전소의 핵심이다. 밀물 때 바닷물이 밀려들어와 날개를 회전시키면 전기가 만들어진다. 이는 ... ...
지구의 젖줄, 바다가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105
폐기물에 의한 오염은 일상적이다. 지난해 미국 멕시코만 일대에 재앙을 불러온 ‘딥
워터
호라이즌 호 사고’ 때는 모두 77만 9000m3의 원유가 흘러나와 생태계를 오염시켰다. 이는 역사상 5번째로 큰 규모다. 한국에서도 2007년 ‘허베이 스피리트 호 사고’가 일어나 충남 태안 일대 해안가가 크게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2
인공적으로 만든 측정 기구도 개발돼 쓰이고 있다.➋ 바다 속도 조사하자!미국 해경은 딥
워터
호라이즌 사고가 일어난 지점의 바닷물을 떠서 오염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오른쪽). 미국해양대기청은 해류의 방향과 속도를 측정한 뒤 분석해, 석유가 어떻게 퍼질지를 예측한 지도를 매일 공개하고 있다.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10
케르비엘은 비밀 계좌를 해킹해 약 6조 원대 손실을 냈다.세계적인 컨설팅 업체 프라이스
워터
하우스 쿠퍼스에 따르면 2003년 기준 50개국 3600개 기업의 37%가 기업 내부의 사기 행위로 평균 200만 달러(약 24억 원)씩 피해를 입었다고 집계됐다. 그러나 이것은 빙산의 일각이다. 평판이 나빠질 것을 ... ...
물과 공기로 열 내리는 그린 빌딩이 답
과학동아
l
201009
데 드는 에너지와는 별도로 얼마나 에너지가 더 들어가는지를 알려준다. 조사 결과 블루
워터
스의 PUE는 1.2로 나타났다. 2007년 미국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에서 조사한 24개의 컴퓨터 시설의 평균 PUE인 1.8~1.9보다 훨씬 낮다.슈퍼컴퓨팅을 위한 특수 건물을 지으려는 노력은 구글이나 ... ...
First Synthetic Life Form
과학동아
l
201008
수 있도록 도와준다.벤터 박사는 영국 가디언 지의 기자에게 말하기를 “세포들이 모든
워터
마크를 제대로 갖춘 채 분열을 시작했을 때 너무나도 기뻤다”고 밝혔다. 또 그는 “이제 이것들은 살아있는 종(種)이며 우리 행성의 생명체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옥스퍼드 대학의 ...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
과학동아
l
200907
비누거품을 보면 120° 구조를 갖고 있고, 이를 건축에 응용한 베이징 올림픽 수영장 ‘
워터
큐브’의 거품구조는 유명하다. 벌집도 대표적인 120° 구조인데, 이는 최소의 밀랍으로 최대의 집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무암 표면에서도 이런 패턴을 볼 수 있다. 용암이 굳으며 수축할 때 120°로 ... ...
물을 자급하는 도시를 건설하라
과학동아
l
200903
자외선으로 살균 소독하면 마시는 물로 바꿀 수 있다. 실제로 싱가포르의 정수업체 ‘뉴
워터
’는 하루 약 2억L의 하수를 정화해 물 수요의 15%를 채우고 있다.빗물도 자원이다내부의 물로 자급하는 우주선과 달리 도시에는 하늘에서 물이 떨어진다. 빗물이다. 빗물을 수자원으로 활용하면 부족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