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물
사적
유해
유골
잔해
폐허
고적
d라이브러리
"
유적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재에 숨어 있던 도시 폼페이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
카를로 3세에 의해 본격적으로 발굴되기 시작했어요.화산재 아래 보존된 폼페이
유적
은 놀라웠어요. 당시에 집안을 장식했던 벽화나 모자이크가 2000년이 넘는 세월을 뛰어넘어 고스란히 보존돼 있었지요. 단단한 건축물뿐만이 아니에요. 하루 만에 화산재에 파묻힌 만큼 당시 식탁 위에 놓여 있던 ... ...
2015 태국탐사대, 치앙마이를 접수하다! 꽃보다 와이룬!
수학동아
l
201503
모두 복을 받을 수 있다하여 탐사대도 동참했다.자전거를 이용해 사원 근처의 고대
유적
지도 탐방할 수 있었다. 탐사대는 왓 쑤안 독(꽃 정원 사원)을 시작으로 여러 사원을 방문했다. 아무래도 치앙마이는 미얀마를 비롯 동남아시아의 여러 불교 국가의 영향을 받아 사원마다 각각의 특징이 ... ...
매머드 멸종, 혜성 때문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
것이에요. 실제로 우크라이나에서는 집을 지을 때 매머드의 뼈를 기둥으로 사용한
유적
이 발견되기도 했어요. 과학자들은 유용한 매머드를 인간이 마구 사냥했을 거라 보고 있지요. 또 우리가 살았던 빙하기에는 여름에도 기온이 8~9℃밖에 되지 않았다고 해요. 따라서 매머드가 주로 먹는 잔디와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
과학동아
l
201503
동굴 벽에서 네안데르탈인이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체크 무늬를 발견했다. 3만9000년 전의
유적
이며 의도적으로 뾰족한 물체로 조심스레 새긴 것이었다.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이 추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표현할 능력이 있었다”고 주장했다.그러나 이형우 교수는 “유럽의 후기구석기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
어린이들이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인 해양문화체험관이 있어요. 게임을 하면서 수중
유적
을 발굴해 보고, 모형 배 위에서 노를 젓고 닻을 내리는 체험도 할 수 있지요.전시는 야외에서도 이어져요. 연구소 앞에 있는 바다에는 조선시대부터 1990년대까지 사용한 새우잡이배와, 조선시대에 세금으로 거둔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
과학동아
l
201502
것으로 미루어 호모 에렉투 스 단계의 인류가 확산돼 왔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곡리
유적
에서 보이는 주먹 도끼가 그 흔적이다. 또 북한 평양 일대 에서 발견된 화석 중에 호모 에렉투스의 ‘진화형’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현생인류 단계의 화석 인류로는 용곡인이나 만달인 등이 있다.석인석기와 ... ...
[Photo] 낡은 책, 자연이 되다
과학동아
l
201502
장서를 경이로운 대자연으로 재탄생시켰다. 험한 산맥과 깎아지른 계곡, 아름다운 동양미를 간직한 고대
유적
까지. 생생한 자연의 모습은 책보다 더 깊은 통찰을 안겨준다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
수학동아
l
201501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돼 보호를 받고 있지요.가장 먼저 가볼 곳은 아유타야의 대표
유적
지인 왓마하탓입니다. 태국어로 ‘왓’은 ‘사원’이라는 뜻이에요. 입구를 지나 천천히 걷다 보면 엄청나게 넓은 사원터에 한 번 놀라고, 화려했던 과거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폐허로 변해버린 ... ...
[과학뉴스] 시리아 내전, 세계문화유산 5곳 파괴
과학동아
l
201410
곳도 다수다.프로젝트 책임자인 수잔 볼핀바게르 단장은 “미래 세대를 위해 문화
유적
의 파괴를 막아야 한다”며 “국제사회가 시리아에 원조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10
무령왕릉을 제외한 다른 삼국시대
유적
에서는 숟가락이 발굴되지 않았다. 고려초기의
유적
에서도 숟가락이 거의 발굴되지 않았다. 고려 초기까지만 하더라도 숟가락은 최상위 귀족층의 전유물이었다. 숟가락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고려 후기 원나라 침략 이후 고깃국 문화가 우리나라에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