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접"(으)로 총 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410
- 중에서도 기온 및 대기 순환과 특히 관련이 높았던 지역은 노르웨이와 핀란드, 러시아와 인접한 카라해와 바렌츠해였다. 이 해역에서 해빙이 감소하면 통계적으로 중위도에 있는 유라시아 동부와 북미 일부에서는 평년보다 기온이 더 내려가며 한파가 찾아왔다. 하지만 관측 기간이 너무 짧았다. 이 ...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과학동아 l201405
- 발전하게 된다. 그런데 마지막 단계가 중요하다. 약 1500만 년 전에 일본 규슈 남쪽에 인접한 태평양판이 필리핀판으로 교체됐다. 이 과정에서 동해 해저를 바깥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서서히 약해지고, 다시 북쪽으로 밀어내는 힘을 받게 된다. 영원히 커질 것 같았던 동해 해저를 필리핀판이 막은 ... ...
- 고리 두른 소천체 등장에 천문학자들 ‘멘붕’과학동아 l201405
- 있었기 때문이다. 기존 이론에 따르면 소천체는 고리를 가질 수 없다.원래 고리는 인접한 다른 천체의 부산물이라는 설이 강했다. 가까운 두 천체는 서로 중력을 주고 받는데, 작은 천체가 자신의 중력보다 큰 기조력(상대가 나를 당기는 힘)을 받으면 부서진다. 이렇게 부서진 파편이 큰 천체의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04
- 바로 인접한 앞 뒤 두 수의 비를 계산해 보자. 그럼 피보나치 수열에서 점점 뒤로 갈수록 인접한 두 피보나치 수의 비가 황금비에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2=1.5005/3=1.666…8/5=1.600…377/233=1.618026…6. 준결정이 응용되는 분야는?이제 준결정이 얼마나 특별한 물질인지 잘 알겠어. 그래도 .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수학동아 l201404
- 그 입자를 구성하는 색을 수치 정보로 나타낸다. 이때 특정 입자를 나타내는 수치가 인접한 입자에 비해 터무니없이 크거나 작으면 잡음이 된다. 공동 연구팀에 참여한 KAIST 이창옥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잡음 정보와 주변 입자가 나타내는 수치의 적절한 평균치를 계산해서 잡음이 제거된 깨끗한 ... ...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과학동아 l201402
- 모두 동의하는 모델이다.하지만 기본 모델에 맞지 않는 빙하도 많다. 서남극 아문젠 해에 인접한 파인아일랜드 빙하는 2010~2012년 녹는 속도가 도리어 느려졌다. 이상훈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최근 그 이유를 밝혀 ‘사이언스’ 1월 3일자에 발표했다.바다를 수직으로 잘라보면 수십 m까지는 ... ...
- 양자역학이 무거워?과학동아 l201402
- 성실히 꿰고 있고, ‘퀀텀 유니버스’는 양자화학이나 반도체의 원리, 별의 최후 같은 인접 분야로 눈을 돌렸다. 양자역학의 A부터 Z까지를 역사와 함께 제대로 이해하고 싶다면 퀀텀 스토리를, 양자역학이 무엇이고 왜 오늘날에도 중요한지를 알고 싶다면 퀀텀 유니버스를 택하면 된다. 두 책은 모두 ...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수학동아 l201401
- 시대가 더 이상 먼 미래의 일은 아니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1단계 시작점으로부터 인접한 지점까지 최단 거리를 찾는다. C1은 5, C2는 6, C3은 2이고, C4는 구할 수 없다. 최단 거리가 알려진 지점들의 집합을 S라고 하자.2단계 집합 S에 포함되지 않은 지점들 중, 시작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을 ... ...
- ‘살인 진드기’와의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311
- 우리 작은소참진드기는 한국과 일본, 중국 같은 동북아시아 국가 뿐 아니라 인접한 러시아, 저 멀리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까지 퍼져 살고 있다오.봄부터 가을까지 풀숲에서 살아가는데 특히 5~8월에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지. 다 크면 3㎜ 정도로 진드기 중에서는 매우 큰 편이지만 사람의 눈으로 ...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과학동아 l201311
- 큰 이빨로 바뀐다. 각각의 이빨이 완전해지고 턱 가장자리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인접해 있는 오래된 이빨은 약해지다가 결국 빠진다. 완전히 성숙한 파충류는 두개골이 이빨이 교체되기 시작했을 때의 10배로 커진다. 이렇게 주기적으로 이빨이 교체되는 것은 항상 적당한 크기의 단단한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