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분"(으)로 총 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10
- 말할 수 없는 것처럼.불확실성은 SNP의 본질적인 한계다. 실제로 SNP는 DNA 가운데 극히 일부분이고 전부 밝혀지지도 않았다. 게다가 SNP를 분석하는 방식도 회사마다 차이가 난다. 하나의 기능에 수십 가지 SNP가 관여하다보니, 어떤 SNP에 가중치를 더 많이 주느냐에 따라 같은 사람의 SNP를 분석하더라도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09
- 제자의 합작 밝히는 수학모델그런데 예전에는 그림을 화가 혼자 완성하는 게 아니라 일부분을 제자가 그려 넣는 경우도 많았대. 혹시 ‘해바라기’에서도 한 송이쯤은 다른 사람이 그렸던 것은 아닐까?화가가 혼자 그림을 완성했는지, 아니면 다른 사람이 함께 그렸는지, 또는 아예 다른 사람이 ...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04
- 전기장판은 몸에 직접 닿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할 때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해요. 일부분을 접어놓은 채로 사용하거나, 위에 무거운 물체를 올려놓으면 정기장판 안에 있는 열선이 끊어지거나 합선돼 과열로 불이 날 수 있어요. 열선이 손상되면서 열선을 따라 흐르던 전기에너지의 일부가 열로 ... ...
- [화보] 사진 속 발칙한 상상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04
- 하이네는 11살 때부터 사진을 보고 상상하는 놀이를 했다고 해요. 사진을 보고 일부분을 마음껏 상상해 그림으로 그린 것이지요.하이네의 즐겁고 익살맞은 사진 놀이를 한번 감상해 보세요.평범한 일상을 색다르게~하이네는 대학교에서 언론홍보학을 공부했어요. 처음에 그는 사회문제나 정치를 ... ...
- [Fun] 수학과 과학은 답을 알고 있다? 천만의 말씀!과학동아 l201503
- 작용하는지 아직 정확히 모른다.이처럼 과학과 수학으로 명확히 해명된 사실은 극히 일부분이다. 답이 정해진 문제만을 배우고 자란 우리가 오해하고 있을 뿐이다. 일본의 두 과학자가 이처럼 세상에 산재한 수많은 과학의 미해결 문제 중 12가지를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푸앵카레 추측, 리만 가설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10
- 비해 그 아래에 있는 '얼굴' 부분이 작다. 또 눈에 비해 코와 입이 작다. 이는 눈이 두뇌의 일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눈의 크기는 두뇌 크기가 완성되면서 완성되고, 코와 입은 얼 굴이 커지면서 완성된다.그런데 동물과 인간은 이 과정이 서로 다르다. 동물은 보통 자라면서 코와 입이 커지고, ... ...
- [화보] 열매의 아찔한 유혹수학동아 l201410
- 사과와 배, 복숭아 같은 달콤한 과일이 떠오른다. 하지만 이런 달콤함은 열매의 아주 일부분일 뿐이다. 날카로운 가시부터 맹독까지…, 열매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다. 열매는 왜 이렇게 여러 가지 얼굴을 갖고 있는 걸까? 그 답은 열매가 품은 씨앗에 있다. 열매가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06
- 재생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해마(특히 치상회라는 해마의 일부분)는 새로운 뉴런이 지속적으로 재생되며, 특히 출생 후 몇 년 동안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만들어진다. 성인의 수백~수천 배에 달할 정도다. 인간과 비교적 가까운 원숭이는 출생 시 만들어진 해마의 40%가 ... ...
- 역겨움을 역겹게 느끼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406
- 식빵을 보고 곰팡이만 제거하고 먹은 적이 있다. 그리고 결국엔 크게 배탈이 났다. 음식 일부분에만 핀 곰팡이를 보면 전체가 역겨워져 먹지 않았어야 했는데 역겨움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 탈이 난 것이다. 이렇게 사고는 늘 살짝 방심할 때 나기 때문에 안전에 관해서 우리의 몸과 마음은 ‘조심해서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04
- 아랫부분에 위치한 아몬드 모양의 신경덩어리), 전전두엽(이마 부분에 위치한 대뇌의 일부분)이 손상되면 편집증과 공격성이 나타난다는 연구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나타나는 편집증과 공격성은 현실에서 매우 동떨어진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사회에는 큰 악영향을 주지 못한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