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멸망시킴
섬멸
괴멸
소멸
몰살
d라이브러리
"
전멸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를 향한 지구인의 고독한 꿈
과학동아
l
199710
지구를 공격해서 쑥밭으로 만들어버리지만, 지구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에 감염돼서
전멸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938년 10월 30일 오손 웰스는 이 소설을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해서 방송했다. 이때 화성인이 침공하는 장면이 너무 실감나게 방송된 탓에, 수백만의 미국인들은 진짜 화성인이 공격해온 ... ...
외계인의 습격
과학동아
l
199709
전 우주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 줄 아시오? 은하계의 한 별에서는 생명체들이 거의
전멸
할 뻔했소. 또 딴 별에서는 그것들이 놀라운 속도로 진화하기 시작했고. 그런데도 뻔뻔하게 변명을 한단 말이오?”“뭔가 오해가 있는 모양입니다. 우린 그런 걸 실어보낸 적이 없습니다.”논쟁은 ... ...
화성을 향한 인류의 짝사랑
과학동아
l
199708
만들어버린다. 그러다가 인간에게 아무런 해가 없는 부패 박테리아에 의해 화성인들이
전멸
당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끝을 맺는다. 그 후 ‘화성인의 침공’을 다룬 SF소설과 SF영화가 쏟아져 나오게 됐다.미국의 화성탐사선 바이킹 1, 2호가 1976년 여름에 보내온 황량한 화성 표면사진들은 ... ...
바이러스와의 영원한 전쟁
과학동아
l
199612
길리엄(T. Gilliam) 감독의 최근작 ‘12 몽키즈’(12 Monkeys)다. 2035년 필라델피아. 인류를 거의
전멸
시킨 바이러스를 피해 지하세계로 피신한 일군의 과학자들은 범죄자들 가운데 한 명씩을 골라 정기적으로 지상상황을 살피러 보낸다. 그 일을 자청하고 나선 인물은 제임스 콜이란 거칠고 반항적인 죄수. ... ...
핵겨울설 한계 뛰어넘은 새 멸종설
과학동아
l
199608
조산운동이 일어나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적다.◇초신성 폭발설 : 공룡
전멸
의 원인을 지구 밖에서 찾는 외계원인설 중의 하나로, 초신성 폭발 때 우주로부터 치명적인 방사선이 와서 공룡과 많은 생물들을 동시에 멸망시켰다는 이론. 이와 비슷한 설명으로 96년 1월 ... ...
페스트, 왜 지상에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507
토끼에게 완전히 새로웠던 이 바이러스는 남부전역으로 불번지듯 퍼져 토끼를 거의
전멸
시켰다. 그후 수년간 이 바이러스는 치사율 99%라는 가공할 병원독성을 나타냈다. 한 토끼에서 다른 토끼로 이 바이러스를 옮기는 곤충은 모기였고 모기 또한 여름철에는 무한정 번식했으므로 농부들은 몇해 ... ...
대만 오랑우탄
전멸
위기
과학동아
l
199502
있긴 하다. 문제는 이 버려진 야생 오랑우탄들이 설사 야생으로 돌아가더라도
전멸
될 것으로 예상 된다는 데 있다. 오랑우탄은 현재 2만7천여 마리만이 보루네오와 수마트라 등지의 섬에 흩어져 살고 있는 영장류로 멸종 위기에 놓인 동물로 분류된다.오랑우탄 자선 기금에서 활동하는 애쉬리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09
노예개미에게 맡기고 있다. 만일 노예개미의 도움이 없다면 이들 종족은 1년도 못 가서
전멸
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 개미들은 전혀 일을 하지 않으며, 일개미도 노예를 부리는 일 이외에는 아무일도 하지 않는다. 이들은 자기 집이 불편해서 이사를 갈 때에도 알이나 애벌레 같은 것을 자기들이 ... ...
생물- 지표종 이용, 환경오염 정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04
못살겠다고 아우성이다. 공장폐수로 인한 중금속류 퇴적 때문에 3급수 이하에서는 거의
전멸
하고 만다.물의 오염도 측정방법을 알아보자. 물이 유기물에 의하여 오염된 정도는 DO와 BOD를 측정하여 판정한다.1. DO(dissolved oxyzen :용존 산소량): 물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을 말하며 ppm단위로 나타낸다.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02
걸고 격렬한 반격(즉 증식)을 할 것이다. 이것이 '싸움'이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숙주를
전멸
시켜서는 안되므로 숙주를 죽이지 않는 길을 모색할 것이다. 이것이 '공존'이다.결국 그 바이러스는 사멸하거나(숙주의 면역기구의 공격으로 죽게 되든지 혹은 숙주를 명망시키고 자신도 사라지든지) 숙주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