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신"(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과학동아 l201504
- 뒤따랐다. “리모컨으로 하면 되지 않나요?” “리모컨을 사용할 수 없는 사람, 이를테면 전신마비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새로운 TV 컨트롤 기술입니다.”신기한 일이다. 뇌파를 이용해 TV를 돌릴 수 있다니. 그런데 이런 뇌공학이 사람의 선호도, 감성, 의사결정 등 다양한 마음 속 정보를 찾아내는 데 ... ...
- [Fun] 수학과 과학은 답을 알고 있다? 천만의 말씀!과학동아 l201503
- 초끈이론 등 지금도 학계에서 논쟁이 치열한 주제, 그리고 앞서 언급한 뱀장어와 전신마취약, 소파 옮기기 등 우리 일상과 밀접한 주제를 포괄적으로 다뤘다.공동 저자 중 한 명인 마루야마 아쓰시는 “학교에서 공부하는, 답이 나와 있는 문제는 미해결 문제를 다루기 위한 준비 과정”이라며 ... ...
- [Hot Issue] DRC휴보II 올해 6월 DRC 우승 노린다과학동아 l201502
- DRC휴보의 가슴속(➍)에는 두 대의 고성능 컴퓨터가 들어있다. 한 대는 기존 휴보처럼 전신의 기능을 제어하지만, 또 다른 한 대는 시각정보를 전문으로 처리한다. 지난 대회에서 시각정보 처리가 불완전하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➎ 로봇머리에는 카메라와 레이저 스캐너를 설치했다. 현재 ... ...
- [Hot Issue] Eaten Alive! 산 채로 아나콘다에 먹히다과학동아 l201502
- 아나콘다의 위 속으로 들어갈 것에 대비해 127가지 화학물질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전신 방호복을 입었다. 이 방호복은 강력한 산성인 아나콘다의 소화액과 닿아도 8시간 이상 녹지 않고 버틴다. 아나콘다 몸속에서도 숨을 쉴 수 있도록 산소마스크도 착용했다. 그 위에는 헬멧을 썼다. 목이 부러지는 ...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어린이과학동아 l201502
- 과학그러니까 요즘 ‘대세’는 꿀과 버터를 바른 감자칩이로군! 좋아! 나도 꿀과 버터로 전신팩을 해서 인기있는 감자칩이 돼야겠어. 그런데 잠깐, 아무 감자나 감자칩이 되는 건 아니라는데? 대체 어떻게 해야 감자칩이 될 수 있는 거지?➊ 감자도 감자 나름감자는 가지과에 속하는 식물로 ...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과학동아 l201501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현지 의료진들에게 전동식 호흡장치 또는 2중 마스크, 전신 방호복과 2중 장갑, 장화, 덧신, 앞치마를 기본적으로 착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기자가 이날 착용한 장비도 10종류가 넘었다. 입는 데만 꼬박 20분이 넘게 걸렸다.“보호 장비는 ‘방수’와 ‘밀봉’이 기본 ... ...
- 얼굴 대면 문이 딸깍과학동아 l201411
- 잘못 입력하면 사이렌이 울리는 장치를 만들었다. 현재 많이 쓰이는 디지털도어락의 전신인 셈이다. 그는 “2000년대 후반부터는 생체인식 보안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했다”며 “여러 기술 가운데 얼굴인식 방식이 사용도 간편하고 응용할 수 있는 범위도 넓어 유망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201 ...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과학동아 l201409
- 스페이스X의 유인우주선. 머스크는 영화 ‘아이언맨’의 실존 모델이다. 드래곤V2의 전신인 드래곤 무인우주선은 2012년 이미 ISS 화물 운반에 성공한 최초의 민간 우주선이다. 그만큼 믿을 수 있다는 얘기! 지구로 돌아와 착륙할 때는 ‘반동추진엔진’이 작동한다. 마치 헬리콥터처럼 지구 어디에도 ...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08
- 받아서 위스콘신대에서 강의를 하고 그의 집에도 방문했습니다.그런데 2년 뒤 러시아의 전신인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되면서 많은 수학자들이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찾아 미국과 유럽으로 자리를 옮겼어요. 저 역시 명효철 교수의 추천으로 1992년 초에 위스콘신대로 자리를 옮기게 됐답니다. 그때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06
- 이식하면 녹색 동물을 만들 수 있다. 어느 세포에 언제 이식하느냐에 따라 전신 또는 일부만 녹색이 될 수 있다.실제로 2012년 충북대학교 동물 바이오 신약 장기 개발사업단은 녹색 형광 소를 국내 최초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탄생시켰다. 이 소는 눈과 코, 혀와 발굽이 형광 녹색으로 빛난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