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뚜껑
집웅
덮개
맞배지붕
맞배
옥개
포장
d라이브러리
"
지붕
"(으)로 총 37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
과학동아
l
201510
사람이 그것에 비스듬히 기대 쉬는 장면을 떠올리기도 했다. 이런 관찰을 통해 포티코의
지붕
역시 기울어진 구조체로 지탱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고 생각했다.가우디는 구엘 백작의 공장단지 내에 있는 노동자들의 성당인 콜로니아 구엘 성당에도 기울어진 구조체를 적용했다. 그는 성당을 10분의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10
각 층 탑신부의 너비가 급격히 작아지면 석탑이 위태로워 보일 수 있어요. 그래서
지붕
돌의 크기를 다소 크게 해 안정감을 준 것이라 추측할 수 있어요. 이 석탑을 보고 있으면 에서 왜 백제의 미를 ‘검소하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않다’고 했는지 알 것 같아요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
발전기를 돌려라!서울대학교 김호영 교수와 전남대학교 박종진 교수팀은 달리는 자동차
지붕
에 단 작은 발전기를 통해 전기를 만드는 기술을 생각해냈어요. 이 발전기를 움직이는 힘은 바람이지만, 그냥 바람으로 모터를 돌리는 ‘풍력발전’은 아니에요. 대신 ‘마찰전기’를 이용한답니다.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08
실내 체육관이나 전시장을 지을 때는 종종 내부에 기둥을 세우지 않고 벽에다 바로
지붕
을 얹게 되는데, 이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 바로 트러스 공법을 이용한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예요. 그렇다면 굳이 삼각형 구조를 기초로 한 트러스 공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삼각형이 가진 ... ...
알록달록 색깔 품은 세상
수학동아
l
201508
황금빛
지붕
이 반짝이는 집이 층층이 쌓여 있어요. 테라스마다 사람들이 저녁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이 달라 무척 흥미롭네요. 사람들이 얌전히 앉아 식사하는 집에서는 재즈 음악이 흘러나오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왁자지껄 시끄러운 소리가 들리는 듯한 집도 무척 흥겨워 보입니다.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06
나온다. 바람처럼 약한 힘에는 충분히 버텼다. 그러나 기둥이 조금만 한쪽으로 기울면
지붕
의 무게 때문에 집 전체가 무너질 수 있다.그럼에도 이미 2층 이상의 높은 한옥은 있었다. 를 보면, 고려 시대 개경에는 3, 4층짜리 한옥이 있었다. 조상들이 한옥을 높게 지을 수 있었던 비결은 ‘체감 ... ...
Part 3. 강함을 배운다
과학동아
l
201505
둥지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전까지 인간이 만들었던 건축물은 모두 땅에 기둥을 세운 뒤
지붕
을 얹는 방식이었다. 언뜻 견고해 보이지만 균형을 잃으면 중력에 의해 언제든 무너질 수 있는 디자인이다. 그는 베짜기새가 야자수에 지은 둥지가 중력에서 자유로운 ‘늘어뜨린’ 모양이라는 데 ... ...
[Photo] 불가능한 사진술 현실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504
코르넬리스 에셔(1898~1972)가 떠오른다.The Architect사람부터 관찰하면 집 안처럼 보이고
지붕
부터 관찰하면 집 외부가 보인다. 초현실 공간을 고민하는 건축가인 듯, 불가능한 도형으로 유명한 ‘펜로즈의 삼각형’을 비롯해 다양한 설계도가 주변에 널려 있다. 요한슨이 이 작품을 만들 때 직접 그린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
과학동아
l
201504
대표적입니다. 1599년에 처음 지어진 조선 전라좌수영의 객사로, 수십 개의 열주가 커다란
지붕
을 받치고 있는 장엄한 목조 건축물입니다. 역사적으로나 건축적으로나 의미가 커서 2001년 국보 제304호로 지정됐지요. 그런데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2004년부터 조사한 결과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임이 ... ...
까치가 현대사회에서도 살아남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
붉은머리오목눈이는 주변에 은신처가 많이 있는 장소에 둥지를 지어요. 또 참새는
지붕
처마 밑이나 건물 틈새를 이용하여 둥지를 짓기 때문에 우리 눈에 잘 드러나지 않아요.까치는 눈에 확 띄는 곳 대신 나무의 높은 곳에 둥지를 지어 포식자를 피해요. 실제로 까치둥지는 아주 높은 곳에 있어 동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