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광
햇빛
햇살
d라이브러리
"
태양광선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10
영화 ‘트랜스포머2’에서 디셉티콘의 거대 로봇 데바스테이터는 전함에서 발사한 레일건 단 한발에 완파된다. 레일건은 화약이나 추진제 대신 전자기력으로 소형발사체를 가속시켜 발사하고 이 발사체의 운동에너지만으로 목표물을 타격하는 신개념 무기다. 즉 발사체는 미사일이나 포탄처럼 폭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
과학동아
l
201209
[만약 올림픽 경기장에도 표준시계가 있었다면 신아람 선수(오른쪽)가 억울한 오심 피해를 보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정확한 1초가 중요한 곳은 스포츠뿐만이 아니다. 지난 7월 1일 ‘윤초’가 적용되면서 트위터, 포스퀘어 등 유명 네트워크 서비스에 차질이 생겼다. 호주 콴타스 항공은 수화물과 ... ...
천문대장이 선물하는 최고의 천체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8
4월 21일은 과학의 날이에요. 과학의 날을 맞아 한국 최고의 천문대 대장님들이 미래의 과학자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에게 특별한 선물을 보내셨어요. 과연 어떤 선물일까요?두 개의 별이 뜨는 행성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 천문대인 소백산천문대장, 이동주 박사예요. 저는 ‘어린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
과학동아
l
201208
2004 오퍼튜니티개요 2003년 7월 8일에 발사돼 이듬해인 2004년 1월 25일 화성 메리디아니 평원에 착륙한 탐사 로봇. 길이 1.6m에 무게 약 175kg. 움직이는 속도는 초속 5cm. 1월 4일 착륙한 ‘스피릿’과 쌍둥이 로봇. 예상 탐사 기간은 90화성일(1화성일=24시간 37분 23초)이었지만 지금도활동중. 9대의 카메라와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06
[허블우주망원경 (가시광선)이 찍은 지구에서 30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솜브레로은하의 모습. 거대한 팽대부 중심에 태양질량의 10억 배에 이르는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 [찬드라X선망원경이 찍은 솜브레로은하의 X선 이미지. X선을 내는 뜨거운 가스가 있는 영역이 팽대부를 넘어 퍼져 있다.]우주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06
광합성의 세계식물을 푸르게 만드는 대표적 기관은 잎이다. 초록색은 광합성에 거의 쓰이지 않는 가시광선 영역이기 때문에 잎에서 반사돼 나오고 덕분에 우리는 식물이 반사하는 푸른색을 보면서 편안함을 느낀다. 광합성이란, 말 그대로 빛을 이용해 일어나는 합성반응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05
“당신이 내가 봤던 것들을 ‘당신의 눈’으로 볼 수 있으면 좋을 텐데.”SF영화 ‘블레이드러너’에 나오는 복제인간 로이 배티가 자신의 눈을 만든 인간(한니발 츄)에게 던지는 대사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스피처과학센터 홍보팀의 ‘시각화 과학자(visualization scientist)’ 로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05
빛에는 태양에서 지구까지 열이 전달되는 방식인 열복사처럼 자연에서 나오는 빛과 형광등이나 LED처럼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빛이 있다. 모든 물체는 온도에 따라 독특한 파장 범위의 전자기파를 물체 표면에서 방출한다. 이를 온도복사 또는 열복사라고 한다. 온도가 높은 물질일수록 파장이 짧은 ... ...
지구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
과학동아
l
201205
지구에서 가장 뜨거운 지역은 어디일까. 중국의 고비사막이나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어디일 것 같지만 아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는 지난 4월 5일, 이란 동부에 위치한 ‘루트 사막’이 지구에서 가장 ‘핫’한 지역이라고 발표했다.미국의 광학위성 랜드샛 7호는 2003년부터 2009년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04
흔히 우주를 텅 빈 암흑의 공간이라고 부른다. 보이는 것이라고는 가까운 태양계 내 천체를 빼면 아주 멀리 떨어진 별이나 외부은하에서 오는 빛이다. 그것도 우리 눈에는 기껏해야 작은 점으로만 보일 정도로 약하다. 이런 약한 빛에 의존해 먼 천체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은 어떻게든 빛을 가로막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