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3,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7
- 경우가 많습니다. 핵심 조절자가 발현돼 잠들어 있던 하위 유전자들을 깨우고, 이로 인해 특정한 구조가 만들어지는 식이죠. 돌연변이 등의 이유로 이 핵심 조절자가 발현되지 않으면 해당 기관 전체를 발달시킬 수 없습니다.날개와 다리에 눈을 만들어내는 능력자핵심 조절자로 가장 잘 알려진 것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07
- 미국 렌셀러폴리테크닉대 화학과 미크 플래트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자의 특정 단백질에 인산이 붙는 것(인산화)을 막으면 수정능력 획득에 관여하는 신호전달체계가 작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doi:10.1021/pr800796j). 수정능력 스위치를 끄는 셈입니다. 플래트 교수는 “이를 이용하면 ... ...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수학동아 l201706
- 정도 등을 이용해 적의 전투력 지수를 계산한다. 시뮬레이션에서 아군의 피해가 크면, 특정 요소를 수정해 다시 시뮬레이션한다. 여기에 쓰이는 모든 요소는 수학을 이용해 계산한다. 거리에 따른 살상도나 목표물에 명중할 확률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VR을 이용한 군사 훈련중요한 것은 인명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06
- 때 모든 선이 향하는 점인 소실점으로 차선을 찾는다. 모든 선을 소실점과 연결했을 때 특정한 각도를 이루는 선의 쌍들이 차선이다.소실점은 영상 속 모든 선분을 연장해 교점을 구하면 된다. 실제로는 모든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하기 때문에 김 교수는 하모니 서치로 모든 직선에서 거리가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06
- 맞는 새로운 서브클론이 생긴다. 이런 식으로 서브클론의 수는 자꾸 늘어난다. 만약 특정 서브클론에 맞춘 항암치료를 시작하면, 기존에 없던 서브클론이 생겨나 주류로 떠오른다. 암과 싸우는 전략이 과거보다 훨씬 복잡해져야하는 이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공주의 결혼 상대 찾기! 공주가 돌아올 시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706
- 많은지 이해할 수가 없군요. 공주는 오후 12시에서 오후 6시 사이에 돌아올 예정이지만 특정 시각을 더 좋아하는 건 아닙니다. 공주가 귀국하는 시각은 날씨나 배의 상황에 따라 우연히 결정될 뿐이지요.오후 12시부터 오후 3시까지, 오후 3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각각 3시간입니다. 따라서 공주가 오후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06
- 어떻게 초 플랑크 영역의 물리학과 연관된다는 걸까. 입자의 에너지와 운동량 사이에는 특정한 관계가 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느린 입자들의 경우, 에너지 E와 운동량 P 사이의 관계는 E=P2/2m(m은 입자의 질량)이다. 그런데 쌍극자 모멘트를 갖는 기체(크롬, 에르븀, 디스프로슘 등. 단일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06
- 암을 일으키는 주요 클론을 하나씩 제압하면 암을 정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실제로 특정 유전자 변이가 과한 활동을 일으켜 암화 과정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성골수성백혈병을 정복할 수 있었고, 유방암과 폐암 등 일부 암에서 치료 성적이 향상되기도 했다. 하지만 암세포의 반격도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06
- 구매했더니, 엄청난 수의 사용자가 접속했고, 워너크라이의 전파 속도가 줄어들었다. 즉, 특정 도메인의 활성화가 워너크라이의 작동을 멈추는 킬 스위치였던 셈이다. 곧 이를 보완한 워너크라이 2.0이 배포됐지만, 이미 세계적으로 존재가 알려진 뒤라 전파 속도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김 연구원은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06
- 있던 균이 병원성을 가지고 있었는지 등은 알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이 병원균이 특정 지역에만 예외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닐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다. 이미 반세기 전에 발견한 항생물질인 콜리스틴은 독성 때문에 사용이 제한됐으나, 세균과 만난 횟수가 다른 약제에 비해 적었던 만큼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