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효제
비약
만병통치약
비방약
만병 통치약
영약
d라이브러리
"
특효약
"(으)로 총 68건 검색되었습니다.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11
항암제’가 개발됐다는 소식으로 연일 언론이 떠들썩하다. 만성 골수백혈병에
특효약
이라는 글리벡. 그 원리는 무엇이고 문제점은 없는지 알아보자.작년 한해동안 가장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라면 ‘가을동화’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백혈병에 걸려 숨지는 여주인공의 가슴아픈 사랑이야기가 ... ...
마늘은 감기
특효약
과학동아
l
200111
소모하는 시간은 평균 2-3년이라고 한다. 이렇게 예방도 퇴치도 쉽지 않은 감기의
특효약
으로 마늘이 떠오르고 있어 화제다.영국 BBC 방송은 마늘이 감기를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지난 10월 3일 보도했다. 이번 연구의 주인공은 영국 이스트 서식스에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01
출현빈도가 매우 낮아 희귀하다. 옛날부터 희귀한 백사가 죽어가는 사람을 살리는
특효약
이라는 얘기가 있는데, 이는 과학적으로 전혀 근거가 없다.인간과 공존해야 할 동물요즘에는 사람들이 뱀그물로 뱀을 마구잡이로 잡아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뱀그물은 아주 단순해 보이는데, 여기에 뱀이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10
우선 의약품의 공급이 계절이나 지역에 따라서 극도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말라리아의
특효약
으로 알려진 키니네는 남미의 안데스 산맥이 원산지인 키나피라는 나무의 껍질에서 채취한다. 17세기경에 서양에 알려지게 된 이 나무는 인도네시아 같은 지역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생산량이 충분하지 ... ...
3. 민주주의 앞당긴 염료의 역사
과학동아
l
199908
양성하게 됐는데, 당시 그의 제자였던 18세의 윌리엄 퍼킨이 1856년에 말라리아의
특효약
인 퀴닌을 합성하는 연구를 하던 중에 뜻밖에도 아름다운 보라색 액체를 얻었다. 퍼킨은 이 액체로 옷감을 염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최초로 인공 염료를 합성한 업적을 남긴다. 퍼킨은 이 염료를 ... ...
1945년 노벨생리, 의학상 플레밍, 폴로리, 체인
과학동아
l
199904
이다. 에를리히는 인간의 세포에는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인체에 침입한 세균만을 죽이는
특효약
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그는 6백번이 넘는 실험과 시행착오를 거듭한 결과 마침내 1910년 매독 치료에 특효가 있는 '살바르산 606'(606이라는 숫자는 606번째로 얻은 물질이라는 뜻이다)을 개발했다. 50대 ... ...
이별의 씨앗이 된 현미경
과학동아
l
199803
배양액으로부터 튜베르큘린을 처음으로 제조했다. 코흐가 튜베르클린을 결핵의
특효약
으로 발표하자 많은 학자들이 큰 기대를 가지고 임상실험을 했지만 결과는 부정적이었다. 튜베르큘린은 오늘날에는 결핵 감염의 유무를 검사하는 데에 쓰이고 있다. 코흐의 낙담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 ...
카이로프랙틱 식물인간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199712
결정한다. 난치병 치료에 기대물론 카이로프랙틱이 식물인간을 깨어나게 할 수 있는
특효약
이라고 말하기에는 보다 많은 연구와 임상사례가 필요하다. 특히 뇌기능이 부분적으로 떨어진 경우가 아니라 뇌조직이 완전히 손상된 경우 그것을 복원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그동안 현대 ... ...
완전한 피임을 위하여
과학동아
l
199705
임신 초기에는 약물로 인공유산을 시도한다. 프랑스에서 개발된 RU 486은 임신중절에
특효약
이다. 아침 알약의 효능까지 갖춘 호르몬 피임제로 유명하다.약물로 인공유산을 시키지 못하면 자궁 내부의 조직을 긁어내는 수술이 불가피하다. 15분이면 끝나는 간단한 수술이므로 혼자 시도하는 ... ...
3. 날씬해지는 행동요법5
과학동아
l
199606
손실을 입을 뿐 아니라 건강이 더욱 악화되기도 한다. 유감스럽게도 현재까지 비만
특효약
은 없다.체중 조절을 위해 의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행동요법이다. 이것의 핵심은 생활 전반에서 잘못된 식습관과 식행동을 발견해 이를 조금씩 고치면서 올바른 식생활관을 확립하는 것이다.1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