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손
뒷자손
후속
후예
d라이브러리
"
후손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10
연구 결과다. 그렇다면 이 종 역시 초기에 아프리카를 벗어났던 왜소한 종의
후손
일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런 연구 결과는 어디까지나 가설이자 소수의견이었다. 그런데 최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대 마크 콜라르 교수팀은 20여 종의 고인류 머리뼈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08
경험의 총합이 우리 자식에서 발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내 몸은 나의 것인 동시에 나의
후손
의 것이다.노 : 정말로 무서운 것은 우리의 경험이 얼마만큼 기록되는지 아무도 모른다는 것이다. 어쩌면 몸에 해가 되는 행동을 해도 별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우리가 아는 것은 내가 나쁜 행동을 한 게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7
지금도 생물막을 만들어서 자신들의 보금자리를 꾸미는 방식으로 성장한다. 하지만 먼
후손
인 연체동물이 이 생물막을 먹이로 삼기 때문에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만들기란 쉽지 않다. 다만 염도가 높은 특수한 조건에서는 연체동물이 살 수 없기 때문에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만들어진다. 샤크베이 ... ...
작은이빨톱상어는 섹스 없이
후손
낳는다?
과학동아
l
201507
포함한 대부분의 척추동물은 수컷과 암컷의 성관계(교미)를 통해
후손
을 생산한다. 그런데 최근 단성생식을 하는 척추동물이 발견돼 화제다. 미국 스토니브룩대 앤드류 필즈 연구팀은 미국 남서부 플로리다 해안선에 서식하는 톱상어의 4% 정도가 단성생식으로 태어난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
우주망원경대기의 한계를 돌파하라!망원경을 이렇게 크게 만들 수 있다니, 역시 내
후손
들의 기술은 굉장해! 그렇다면 그 유명한 허블우주망원경은 대체 얼마나 큰 걸까? 뭐? 겨우 2.4m? 지상의 거대망원경에 비해 너무 작은 거 아냐?우주의 ‘돛단배’, 제임스 웹(JWST)허블우주망원경은 지상이라면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
수학동아
l
201505
지금은 화성에 압축도시를 짓기 위해 노력하는 수준이지만, 더 먼 미래에 우리의
후손
은 우주 곳곳에 이런 도시를 짓고 살아갈지도 모른다.푸른 나무의 도시멀리서 본 화성의 도시는 마치 거대한 나무 같다. 모든 건물은 벽면이 이끼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돔 안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
과학동아
l
201505
공룡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러나 아주 소수의 공룡은 살아남았으니 수각류 공룡의
후손
들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날개로 위험 지역을 피해 다녔고 깃털로 체온을 유지해 생명을 지켰다. 죽음마저 이겨내고 지구를 접수한 강인한 동물들이 오늘날 ‘새’의 조상이다.앞발, 날개가 되다조류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4
이와 비슷하거나 앞선 시대에 살았어야 한다. 하지만 세디바는 더 후에 살았기 때문에,
후손
이 조상보다 먼저 태어나는 시간적 모순이 생기는 것이다. [1999년 발견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 역시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 속을 이어 줄 후보로 꼽힌다. 이번 연구에서는 가르히도 조상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
과학동아
l
201504
필수적이다.부모는 나중에 손주까지 돌봐야 하고, 사냥기술이나 도구 제작 기술도
후손
에 전달해야 한다. 그러자면 수명은 긴 게 유리했다. 이런 상황이 선택압이 돼 인류의 수명은 점점 더 길어졌다. 자연계에서 폐경이 끝난 뒤에도 수십 년을 더 살아가는 포유류는 오직 인간 밖에 없다. 진화가 ... ...
PART 3.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
과학동아
l
201502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은 현재의 코끼리가 빙하기를 끝으로 지구 에서 사라진 매머드의
후손
이라고 생각 한다. 하지만 매머드는 코끼리의 조상이 아니라 가장 가까운 친척일 뿐이다. 매머 드의 조직과 DNA 연구 결과를 보면 아 프리카코끼리와 아시아코끼리가 유전적 으로 가까운 정도보다, 매머드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