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락"(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내 멋진 숟가락 모양 부리를 보고 날 알아보는 친구들이 많을 듯 해. 난 한국에 자주 찾아오는 저어새야. 나도 하고 싶은 말이 있어. 요즘 사람들 때문에 먹이를 잡을 곳이 많이 사라져서 불만이 많았거든. 못친들, 내 억울한 얘기 좀 들어 줄래?빠른 멸종은 사람 탓생물이 멸종하는 건 어쩌면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세게 잡으면 달걀을 깨뜨린다. 너무 살살 잡으면 달걀을 떨어뜨린다. 게다가 달걀을 손가락으로 잡기 전에 어느 정도의 강도로 잡을지 이미 결정을 해야 한다! 이처럼 공학적으로는 어마어마하게 어려운 과제를 우리의 손은 별다른 노력 없이 척척 해낸다. 다시는 손을 무시하지 마시라.마치 누군가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저(箸)’와, 가늘고 긴 모양을 뜻하는 우리말인 ‘가락’에 사이시옷이 더해져 젓가락이 되었다고 알려져 있지요. 귓병 역시 우리말인 ‘귀’와 한자인 ‘병(病)’에 사이시옷이 더해져 생겨났어요.한편 장마는 여름철에 여러 날을 계속해 비가 내리는 날씨를 말해요. 주로 6~7월에 오는 장마는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상반기 이전 상용화를 목표로 가상미각 장비 ‘Taste+’를 개발하고 있다. 텀블러나 숟가락 모양으로 생긴 이 장비는 입이 닿는 부위에 전극이 설치돼 있다. 액체를 마시거나 음식을 먹을 때 자동으로 혀에 미세한 전기자극이 간다. 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싱가포르국립대 니메샤 라나싱어 박사는 ...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음악을 이루는 3가지 요소다. 리듬은 박자와 빠르기 등을 포함한다. 멜로디는 ‘가락’, ‘선율’이라고도 하는데, 음의 높낮이나 길이 변화를 뜻한다. 두 개 이상의 음을 동시에 울리는 화음(코드)을 연결하면 하모니(화성)가 된다. 대중이 사랑하는 음악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여러 과학자가 그 ...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있는 회사인 베르테라(Verterra)는 낙엽과 물만으로 일회용 접시와 그릇, 칼, 포크, 숟가락 등을 만들어서 팔고 있다.낙엽으로 접시를 만들 수 있는 건 낙엽에 들어 있는 ‘셀룰로오스’ 덕분이다. 셀룰로오스는 우리가 섬유소라고 부르는 성분으로, 물리적으로 질긴 특성이 있다. 이런 셀룰로오스를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믿기 어렵겠지만 조선 시대 이전까지 대부분의 백성들이 쌀밥을 먹지 못했기 때문에 숟가락이 필요 없었다(다른 곡식으로도 밥을 해먹지 않았다). 조선 시대 이전에는 쌀밥은 귀족과 왕의 전유물이었다. 평민에게 쌀은 아주 귀한 작물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평민들은 조나 보리를 먹었고 귀족은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네! 아마 감을 먹고 뱉은 씨를 잘라본 친구들은 본 적이 있을 거야. 이렇게 하얀 숟가락 모양을 ‘배’, 주변의 하얀 것들을 ‘배젖’, 이것들을 덮고 있는 얇은 층을 껍질이라고 해. 배는 나중에 자라서 어린 식물이 되고, 배젖은 싹이 틀 때 필요한 양분을 저장하고 있지. 사과나 벼도 같은 구조로 ...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등 원색은 물론 야광과 금색까지 다양하다. 이미 3D 프린터용으로 지름 3mm인 가는 국수 가락 형태의 제품이 나왔다. 길이 100m씩 두루마리로 묶어서 파는데, 3D펜으로 작품을 1000개 이상 만들 수 있는 양이다.이 펜으로 무엇을 만들 수 있을까. 예술가들이 진가를 먼저 알아봤다. 철사 공예 작가 5명이 ...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1만 종 이상의 세균과 고세균을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 토양 곰팡이까지 더하면 ‘숟가락 크기 생태계’의 생물 종 다양성은 훨씬 커진다.그런데 우리가 100년 이상 탐사해 알고 있는 전체 세균의 종류가 1만 종밖에 안 되며, 관악산 흙 한줌에 사는 세균 중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종은 5%에 불과하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