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척자"(으)로 총 138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우리가 알고 있는 수학자를 비롯한 수학의 역사 대부분은 서양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러나 엄연히 동양에서도 수학은 있었고, 우리나라 역시 수학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를 맞이해 우리나라 수학의 발전과정을 짚어 보았다조선의 산학, 한국 수학사의 물꼬를 트다!우리나 ...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초창기부터 국내 양자컴퓨터 분야를 이끌어온, 이 분야의 개척자다. 1998년부터 연구단을 꾸려 반도체를 이용한 양자 연산을 시도하고 있다. 반도체 안에는 자유전자가 있는데, 특수한 방법을 이용하면(반도체 자체를 작게 만들거나, 음전하를 띠게 한 수십 nm 크기의 ... ...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빙하가 막 녹아서 없어지는 지역에는 식물이 없고, 시간이 흐를수록 자주범의귀 같은 개척자 식물이 띄엄띄엄 살아간다는 사실을 발견했답니다. 즉 빙하가 물러난 땅에 가장 먼저 자리를 잡는 식물이 자주범의귀인 셈이에요. 자주범의귀는 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는 땅위를 기는 형태로 많이 자라요. ... ...
-
-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변하니까요. 그런데 학생이 앞으로 어떤 일을 하든 그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고, 개척자가 되면 항상 길은 있어요. 꿈을 크게 가지고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열심히 하세요.”라고 말씀해 주셨다.교수님의 이 말씀은 앞으로 수학도의 길을 걸어갈 나에게 두고두고 큰 힘이 될 것 같다.조가현 기자의 첨삭 ... ...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로켓은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려놓거나 탐사선을 보내기 위해 쓰는 장치다. 그러나 사운딩 로켓(Sounding Rocket)은 관측 장비를 싣고 준궤도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지상으로 떨어진다. 추력이 낮아 탈출속도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구를 벗어나지는 못하고, 인공위성을 올리지도 못한다.수십~수백 ... ...
-
- 우주휴가 즐기는 네 가지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5호
- 오해하지 마라. 나 마음만은 호올~쭉하다!우주에 다다른 지 51년우주관광시대의 개척자를 소개합니다우주여행의 원조는 바로 나!유리 가가린 1961년 4월21일안녕? 나는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이라고 해. 최초의 우주인을 배출한 사실은 여전히 우리 소련(지금의 러시아)의 자랑이지. 나는 196 ... ...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나온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가 말하는 공학자의 길이란 아무도 가보지 못한 길을 떠나는 개척자를 닮았다. 연구를 하다 보면 새로운 원리를 발견하게 되고, 그 원리를 통해 새로운 응용기술을 발전시켜 나가는, 오롯이 혼자 헤쳐나가야 하는 길인 것이다. [최 교수(왼쪽)와 한규희 연구원이 ... ...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붙어 다니는 것 같더라.그런 것 말고 우리 화성인에게는 우리만의 재미도 있단다. 개척자의 자손이라 그런 걸까? 우리는 밖에 나가서 활동적으로 탐사하기를 더 좋아해. 화성에서 인기 좋은 곳이 마리너 계곡이야. 지구에는 그랜드 캐니언이 유명하다고 하지? 그랜드 캐니언은 길이가 400km에 너비가 3 ... ...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사람을 부양할 여력이 화성에는 없었다. 초기에 화성에 정착한 개척자들은 모두 유용한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젊은 전문가였다. 이들은 화성 정착지를 자급자족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해 기꺼이 젊음을 포기했다.이들의 노고 덕분에 오늘날 화성은 ‘살 만한’ 곳이 됐다. 이를 잘 ... ...
-
- ‘마피아’의 자원개발과학동아 l2011년 12호
- 평가시스템이다. 우리나라에는 전문가도 거의 없던 생소한 연구 분야였다. 이 분야의 개척자로서 새로운 학문의 장을 열었다.귀국하자마자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BK21 조교수로 연구 활동을 했다. 마침내 2006년 6월 설립된 한국광해관리공단에서 그동안 쌓은 연구경험을 활용할 기회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