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족
불충분
궁핍
모자람
가난
빈곤
결여
d라이브러리
"
결핍
"(으)로 총 443건 검색되었습니다.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당하고만 있지는 않는다. 숙주세포는 끝까지 바이러스를 붙잡으려고 한다.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에 감염된 백혈구는 테더린(tetherin) 단백질을 분비하는데, 이 단백질은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려는 바이러스를 붙잡는다. 면역세포가 도착할 때까지 잡아두는 것이다. 일단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자가면역질환이 생길 수 있다. 후천성면역
결핍
증(AIDS·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는 수지상세포의 여러 수용체와 결합해 인체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현재는 단핵구가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등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단핵구는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에 감염돼 후천성면역
결핍
증(AIDS·에이즈)을 앓거나 명확한 이유 없이 급성 백혈병이 생기기도 한다. 면역시스템이 오작동을 일으키면 내 몸의 것을 남의 것으로 인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고통받을 수도 있다. 어떤 원인으로 ... ...
1981년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시작했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의학계에서는 원숭이에서 발견되는 원숭이면역
결핍
바이러스(SIV)에서 HIV가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출현 시기를 1930년대로 보고 있다. 1900년대에는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고 높은 치사율을 보였기 때문에 한때는 ‘20세기 흑사병’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유전자 치료제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가령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한 선천성 면역
결핍
증 치료제인 ‘스트림벨리스’는 2016년 유럽의약품청(EMA)의 승인을 받아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희귀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 ‘럭스터나’는 2017년에 미국 FDA, 2018년에는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들러붙고 점막세포를 먼저 감염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의 경우 숙주세포의 CD4 수용체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CD4 수용체는 T림프구 표면에서만 발견되는 단백질이다. 결과적으로 HIV는 도움 T림프구, 대식세포 등 특정 면역세포에만 결합해 면역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때론 음모론에 휘말리기도 한다.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가 유발하는 후천성면역
결핍
증 (AIDS·에이즈) 백신이 대표적인 예다. 1981년 미국에서 에이즈 환자가 학계에 처음 보고된 이후, 세계적으로 에이즈로 인한 사망자는 현재까지 약 3790만 명에 이른다. 최근 50년간 창궐한 바이러스성 감염병 중 ...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암세포가 계속 증식할 때는 세포 분열 속도와 정도를 조절하는 단백질이 고장 나거나
결핍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24시간 내내 쉬지 않고 세포 분열이 일어난다. 복제 과정에 문제가 생겨 ‘불량세포’가 만들어졌는데도 복제를 중단하지 않고 불량세포를 계속 찍어내는 것이다. 세포의 ... ...
코로나19의 창, 치료제...항바이러스제가 끌고 항체치료제가 쫓고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로피나비르(lopinavir)와 리토나비르(ritonavir)를 주성분으로 하는 칼레트라는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의 증식에 필요한 단백질분해효소를 억제한다.차오빈 중국 국립임상연구센터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칼레트라를 이용해 1월 18일~2월 3일 코로나19 치료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 ...
페임랩 도전기 “내년엔 ‘노잼’은 없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뒤 ‘단백질가위’로 잘게 쪼개 사용합니다.칼레트라는 에이즈를 유발하는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의 단백질가위를 무력화시키는 물질입니다. 이것이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에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모양은 조금 다를 수 있지만 결국엔 단백질가위니까요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