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들구들
방
룸
온돌
d라이브러리
"
구들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대표적인 수리도구다. 이 도
구들
은 우리나라의 지형과 논밭의 형태에 알맞게 고안된 도
구들
로 근대적인 양수기가 이용되기 얼마전까지만도 광범위하게 이용되던 농가의 필수품이었다.두레는 건널목인 둥근 나무의 한 끝을 논밭의 두둑에 얹어놓고 다른 한 끝은 기둥 세개를 세워 만든 받침대에 ... ...
집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공간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좌식생활은 지면으로부터 높이 쌓은 기단과
구들
고래로 자연히 높은 온돌바닥, 높은 우물마루 바닥과 더불어 집의 조경에도 영향을 주었다. 즉 우리의 뜰이 그 속을 거닐며 즐기는 소요 정원이 아니라, 방이나 대청에 조용히 앉아 턱을 문지방에 괴고 모든 창호를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달 면에서 가장 큰 화구의 하나로 지름이 2백35km나 된다. 그 가운데에는 소화
구들
이 많이 있다. 티코는 지름 87km의 언덕을 지닌 균형잡힌 아름다운 크레이터다. 훌륭한 중앙 화구군을 가지고 있어 보름달이 가까와 오면 유별나게 반짝이며 방사상으로 뻗은 휘조(輝照)를 선보인다. 또한 '무지개 만'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연지는 곧 연지산에서 나는 '연지 꽃'에서 온 말이다. 핵실험하는 초생달 모양의 사
구들
하서회랑에서 서북쪽으로 가면 트루판분지, 서쪽으로 가면 타림분지에 이른다. 세계에서 가장 바다와 멀리 격리된 사막이다. 투루판분지는 중국대륙에서 가장 낮은 땅으로서 바닥이 드러난 아이딘 호수는 이 ... ...
카나리아군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구릉처럼 솟아나온 소규모의 분석구를 형성한다.지화도를 따라 형성된 구릉인 분석
구들
은 커다란 화산에 붙어있기 때문에 기생화산 또는 화산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측화산(測火山)이라고도 한다.이러한 기생화산들은 세계적으로 분포지역이 극히 한정되어 있다. 이탈리아 시칠리아섬의 ... ...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씨름하게 되었다. 그는 '한 구의 주변에 다른
구들
이 어떤식으로 배열돼 있어도 이
구들
을 나누는 평면들이 만드는 다면체 방에서 구의 평균밀도가 0.7547(방이 마름모꼴12면체일 때의 평균밀도)를 넘지 않는다'는 문제를 먼저 생각했다. 이 문제는 한 구의 주변에서만 따져보는 문제이므로 케풀러의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것들을 만들었다면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동석 마노 홍옥수 조개 등으로 만든 장식
구들
도 발길을 멈추게 했다. 특히 인더스문명을 상징하는 인장은 단연 압권이다. 사각형의 동석(潼石)에 외뿔소 소 코끼리 악어 그리고 얼굴이 셋 달린 신인(神人) 등을 정교하게 새기고 거기다 그림문자를 새긴 ... ...
20년후-달의 신비를 벗기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壯觀)을 자랑하는 '타이초' 분화구는 단지 1억9백만년 전에 생긴 것이다. 약간의 작은 분화
구들
은 2백만년 전에 생겼다.우리가 다시 달탐험을 재개하면 달을 관측소나 광산, 인류의 새로운 주거로 이용하는 것 이외 그 표면을 세심하게 연구함으로써 달의 역사의 모든 상세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을 ... ...
따비, 괭이에서 달구지, 트랙터까지 농업의 역사를 한눈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쌀은 부여에서 발견된 탄화미(炭化米)로 청동기시대로 추정됐으며, 이 시대의 보관용
구들
이 모두 자그마한 것이어서 곡물의 수확량이 매우 적었으리라는 추측도 흥미있다. 삼국시대로 넘어오면 디딜방앗간에서 두 여인이 방아찧고 있는 사진을 볼 수 있다. 이 디딜방아 사진은 황해도 안악 ... ...
섬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5백m인 한라산의 백록담분화구이며, 작은 것은 직경 수십m가 되는 기생화산이다. 이 분화
구들
은 섬의 장축위에 가장 많이 분포하며, 이들 대부분은 원추형의 원지형이 그대로 남아있다. 해안에 있는 분화구중에서 성산일출봉과 같이 수중에서 화산폭발한 것이 있다. 이것은 융기에 의해 해수면위로 ... ...
이전
1
2
3
4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