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모"(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맨틀 하부에는 ‘대규모 저속 지역(LLVPs Large low-shear-velocity provinces)’이라는 구조가 있다. 주변 맨틀보다 밀도가 더 높아서 지진파가 느리게 전달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1980년대 지진파 탐사로 발견됐는데, 아프리카와 태평양 지하에 각각 한 덩어리가 존재한다. 너비 3000km, 높이는 최대 100 ...
- [특집] 생성AI 2024 리포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024년은 생성 인공지능(AI) 상용화의 원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탑재해 인간처럼 똑똑하게 말하고 행동하는 생성 AI가 산업 전반의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한 해가 예상된다. 생성 AI는 AI 개발의 최종 목표인 인공일반지능(AGI)과는 다르다. AGI는 인간처럼 감정을 느끼고 독립적으로 ...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박진영 성균관대 인공지능융합학과 교수는 “앞으로의 생성 AI는 기존의 AI와 비교해 규모와 문제 해결능력이 월등하게 뛰어난 ‘초거대 AI’로 발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2019년 구글이 발표한 T5는 110억 개 정도의 파라미터를 사용했다면, 2020년 오픈AI가 발표한 GPT-3는 1750억 개의 ... ...
- [과학동아 X 서울시립과학관]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 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준비 중인 서울시립과학관을 찾았다. 로비에 들어서자, 바닥부터 천장까지 향하는 대규모 토네이도 체험관과 주기율표 모양 사물함, 라는 독특한 층수가 눈에 들어왔다. 과학 덕후의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는 공간이었다.‘청소년을 위한 기초 과학관’을 표방하는 서울시립과학관은 기초과학에 ... ...
- 라면 직접 만든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때문에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어갑니다. 공장에서 생산하기 전에 연구실에서 라면을 소규모로 만들어 보면서 어떻게 라면을 만들지 방향을 잡는 거죠. Q. 평소 라면 시식도 많이 하나요? 라면 시식만 하다가 하루가 끝나버릴 때도 있어요. 면 연구팀이라고 면만 만들면 되는 게 아니라, 스프와 면이 ... ...
- 바둑이 넌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바둑이 등 토종개 집단을 형성했을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대륙을 넘나드는 큰 규모의 연구 비결은 바로 ‘협력’이에요. 박찬규 교수는 “전 세계 연구자들이 공개하는 개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기도 하고, 직접 다른 나라에 찾아가서 개의 혈액을 받아오기도 했다”고 말했어요. 또 ... ...
- [기획] 벌레들의 대량발생 방제보단 공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아니에요. 최근 몇 년간 털파리, 대벌레, 매미나방 등 여러 종의 벌레가 곳곳에서 대규모로 나타났습니다. 자꾸만 반복되는 대량발생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방제는 일시적 미봉책 2022년 7월, 서울시 은평구에서는 일명 ‘러브버그’라고 불리는 털파리가 주거지에 집단으로 나타나 주민들이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오랜 기간 지진 안전 지대라고 불려 왔지만, 더 이상 안심할 수 없다고 해요. 5월에도 규모 4.5의 지진이 동해안에서 발생했죠. 역사상 가장 무서웠던 지진은 어떤 지진일까요? 건강하게 살을 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시아비만학회장 가천대학교 김경곤 교수는 ‘당 5g 다이어트’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더위를 피하려던 임금님, 사기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향하는 바람인 편동풍, 일명 ‘무역풍’이 붑니다. 무역풍은 전 지구에 걸쳐 부는 큰 규모의 바람으로, 동태평양의 바닷물을 서쪽으로 옮기는 역할을 해요. 바닷물이 빠져나간 자리에는 수심 깊은 곳에서 솟아오른 차가운 물(심층수)이 동태평양 표면을 채우게 됩니다. 덕분에 동태평양의 수온은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마련하기 위해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300만 원을 모으기. 고등학생들의 프로젝트라기엔 규모가 조금 큽니다. 프로젝트 소개도 그렇습니다. 로켓 연료를 만들고, 시험발사를 진행하기까지의 고군분투를 쭉 적었는데, 그 내용이 논문을 방불케 할 정도로 구체적이었죠. 오버페이스, 어떤 사람들인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