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문제를 푸는 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리만 가설을 향한 학자들의 도전은 소수의
규칙
을 찾는 그 영광을 얻기 위해 계속될 것이다. *머튼스 추측 : 복소수의 소인수분해에 관한 문제로, 머튼스 추측이 참이라면 리만 가설도 참이다. 하지만 머튼스 추측이 거짓이라고 해서 반드시 리만 가설이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때문이었어요. 파업으로 AI의 활용이 완전히 금지된 건 아니지만, AI를 어떻게 사용할지
규칙
이 생겼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요. 창의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인 책 표지, 일러스트, 웹툰 등에서 생성형 AI 서비스들이 많은 작가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건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예요. AI 결과물은 저렴한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2개의 소수만 나타나는 것처럼 드물게 나타나는 구간이 있어 소수 계단의 모양은 불
규칙
하다. 오일러는 소수 계단을 머릿속으로 오르고 또 오르며 소수가 언제 나타나는지 살폈다. 그러다 오일러는 우연히 한 수학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특이한 식과 답을 발견했다. ‘모든 자연수를 제곱해 그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소수를 ‘중심 십각 소수’라고 부른다. 신기한 것은 11부터 281까지 수는 다음과 같은
규칙
이 있다. 수학자들은 이런 특이한 성질을 가진 중심 십각 소수를 마치 진주 목걸이처럼 10개 단위로 묶어 그림으로 나타냈다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거다. 500원짜리 동전까지 추가하면 더욱 심해질 것이다. 토르콰토는 이처럼 불
규칙
하지만 고른 배열과 특징이 비슷한 배열을 ‘초균일성’이라고 이름 붙였다. 그리고 어떤 영역을 봐도 고르게 분포할 수 있는 방법을 따랐기 때문에 닭의 시력이 좋다고 분석했다. 그런데 대체 초균일성과 소수가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질서라고는 찾아볼 수 없지만, 아주 우연히 세 점 이상이 한 직선 위에 일렬로 놓인다면
규칙
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통계적으로 매우 낮은 확률이기 때문에 일어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어떤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놓이지 않을 때를 ‘일반적인 위치’에 있다고 하자. 만약 종이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교수님에게 수학이란 어떤 의미인가요? 수학자 : 먼저 수학자다운 답을 하자면 수학은
규칙
을 찾아 일반화와 추상화를 할 수 있고, 명제 혹은 현상을 엄밀하게 증명하는 학문이에요. 그렇지만 저에게 수학은 학문 그 이상의 의미가 있어요. 단순히 업이 아닌 제 인생의 일부분이자 어떻게 보면 ... ...
이제는 인공지능도 만화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문제를 해결하려면 수학이 필요해요. 인공지능은 수많은 정보를 학습하고, 그 안에서 ‘
규칙
’을 찾아내 사용자가 원하는 것에 가장 가까운 답을 내놓거든요. ‘투닝’은 인공지능으로 웹툰을 쉽게 만들도록 도와주는 사이트 중 하나예요. 투닝을 만든 회사 툰스퀘어의 이호영 대표는 “여러 ...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로띠로 변형하고 ‘처음에 한 더미로 쌓여 있던 로띠를 불에 구워가며 정렬한다’는
규칙
을 추가한 ‘쌍둥이 팬케이크 쌓기 문제’ 같은 발전형 문제가 생겨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왜 이렇게 공들여서 연구하는 걸까? 물론 걸음걸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학적인
규칙
자체도 아름답지만, 그 이유는 바로 안전하게 걸어 다니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서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