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김"(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프로그램은 AI 교육의 기회에서 소외되는 지역이 없도록 전국의 청소년에게 제공된다. 김 교수는 “대국민적인 AI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전국민이 AI와 친숙해져야, 앞으로 더욱 발전할 생성 AI 시대 속에서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통해 전기를 왜 아껴야 하는지, 어떻게 아낄 수 있는지 좀 더 알게 됐다”고 말했다. 김예닮 신월중 교사는 “학생들이 에너지 절약과 효율에 대해 다방면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줄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 ...
- [출동! 기자단] 트랙으로 창의력을 겨루자! 제2회 그래비트랙스 창의력 경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트랙에서 독자 기자만의 개성이 돋보이는 점, 앞으로 보완할 점 등을 알려 주셨죠. 김정호 독자 기자는 “학교에서 한 번도 사용해 본 적 없었던 스쿠프 확장을 체험할 수 있어 좋았다”며 “내년에도 경북 보드게임 축제에 방문해 최대한 많은 종류의 보드게임을 해보고 싶다”고 소감을 ... ...
- [노벨 물리학상] 전자까지 순간 포착! 아토 과학 시대를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발전시켜 전자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성공합니다. ‘아토 과학’의 시대를 연 거죠. 김 부단장은 “아토 과학을 통해 인류는 물질이 만들어지고, 다른 물질과 반응하는 과정을 더 정확히 알 수 있는 도구를 얻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아토초 다음은 그보다 1000배나 짧은 젭토초”라며 ... ...
- [출동, 슈퍼M] 어떤 이름을 가진 어린이가 가장 많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1호
- 박, 최, 정 씨 성을 가진 사람을 모두 더하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절반이 조금 넘어요. 김, 이, 박, 최, 정, 강, 조, 윤, 장, 임 씨를 제외한 나머지 약 520여 개의 성씨를 가진 사람은 전체의 1/3정도를 차지한답니다 ... ...
- [광고] 김군과 함께하는 트랙 대모험! 그래비트랙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직접 만든 멋진 트랙을 구경하기도 했지요. 박준범 독자 기자는 “매번 유튜브로만 보던 김군 선생님을 만나서 신기했다”며 “직접 설명을 들으니 훨씬 이해가 잘 되어 멋진 트랙을 만들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 ...
- [도전!섭섭박사 메이커] 파란 하늘 위로 훨훨! 연 날리기 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섭섭박사님은 커다란 연을 띄워 훨훨 날려보기로 했지요. 섭섭박사님, 이왕 연을 날리는 김에 직접 만들어 보겠다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연을 만들어 날려볼 거예요. 연날리기 키트는 연의 몸체와 뼈대인 살대 두 개, 물레, 물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선 몸체를 펼쳐 몸체에 살대를 끼워 줍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저서생물, 위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구멍을 뚫고 들어가 그 안을 기어다니며 삽니다. 뿌리로 바닥에 붙어 살아가는 미역이나 김, 잘피 등은 대표적인 저서식물이에요. 저서동물에는 모랫바닥을 기어다니는 게를 비롯해 모래 속에 구멍을 뚫고 사는 갯지렁이, 말미잘, 조개 등이 있습니다. 저서생물들은 대부분 물고기처럼 물속에서 ... ...
- 그동안 재료를 가져다준 게 너였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쌀가루가 2와 3/4만큼 있으니까, 이중 1과 3/10만큼만 남겨두고 떡을 만들어야겠어! 만드는 김에 분동이에게도 가져다줘야지~!” 그날 밤, 분동이와 분나는 감사한 분에게 드릴 것을 남겨두고는 서로에게 줄 빵과 떡을 지게에 싣고 길을 나섰어요. 절반 정도 지났을 때, ‘꽈당’ 누군가와 ... ...
- [현장취재②] 우동수비대 4기, 미어캣 정형행동 관찰 현장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동물원에 있는 동물이 스트레스 등의 이유로 의미없이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일이에요. 김 연구원은 “함께 기록에 참여해 보니 미어캣과 관찰자 사이에 거리를 넉넉히 두고, 기록을 시작하기 전 10~15분 정도 동물이 적응할 시간을 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어요. 이어 “쉽지 않았을 텐데,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