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편지를 교환했다. 오일러는 골드바흐가 보낸 편지 내용에 흥미를 느껴 꼼꼼히 살펴본
끝
에 그의 추측을 아래와 같이 수정했다. 그 이유는 오일러와 골드바흐의 소수에 대한 견해가 달랐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소수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숫자 1을 소수로 생각하는 수학자가 많았다. 골드바흐도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이 소용돌이가 지느러미 주변의 물 흐름을 지속적으로 섞어주면서 물이 지느러미
끝
까지 잘 붙어서 흐르도록 도와줍니다. 즉 전체적으로 혹등고래의 지느러미는 더 큰 받음각에서도 실속하지 않고 양력을 계속 생성합니다. 이번 논문에선 이 두 가지 특징을 유체역학 공식으로 유도해냈습니다.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모터, 관절 구조에서 온다. 기계공학의 영역이다. 로봇의 몸을 다 만들었다고
끝
이 아니다. 이제 이 로봇이 부드럽게 작동하도록 제어해야 한다. 앉은 자리에서 책상 저 편 멀찍이 떨어진 컵을 잡는 동작을 생각해보자. 그냥 팔만 뻗어서는 닿지 않을 곳에 물체가 있다면 인간은 자연스레 허리를 함께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점에서 이 증명을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반응도 있었지만, 결국 7년에 걸친 검토
끝
에 헤일즈의 증명은 2005년 수학계 최고의 명망을 가진 저술지 ‘수학연보’에 출판됩니다. doi: 10.4007/annals.2005.162.1065 케플러 추측이 무려 387년 만에 풀린 것입니다. 자, 그러면 문제가 해결된 것처럼 보입니다! 망 속의 ... ...
바닷속 보물을 찾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썰물로 물이 빠지면 육상 조사를 했죠. 물이 언제 들어오고 빠지는지를 살펴 조사한
끝
에 안전하게 발굴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Q. 내 용궁이 들키지 않고 이렇게 오래 버틸 줄은 몰랐어. 발견 당시 해남선은 썰물로 바닷물이 빠지면 일반 시민들도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곳에 있었어요.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국장은 프랭클린 루스벨트 당시 미국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하나 올립니다. ‘과학, 그
끝
없는 프론티어(Science耔he Endless Frontier)’란 이름의 이 보고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과학연구 자금 지원 정책 논의의 시금석이 됐습니다. doi: 10.1515/9780691201658 보고서에서 부시는 기초과학이 응용과학 발전의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돼도 헤아려야 하는 경우의 수가 많아 구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수학자들은 노력
끝
에 볼록 오각형과 볼록 육각형의 경우에는 각각 9개와 17개의 점을 찍어야 한다는 걸 증명했다. 그러나 볼록 칠각형 이상에서 필요한 점의 개수를 아직 구하지 못했다. 다만 1935년 세케레시와 에르되시는 해피엔딩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호기심은
끝
이 어딜까? 피자를 공평하게 나눠 먹는 기상천외한 방법은 수학자의 단골 연구 주제다. 피자를 자를 때 모든 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도록 한다면 똑같이 나누기가 비교적 쉽다. 하지만 선들이 원의 중심이 아닌 다른 점을 중심으로 지난다면 어떨까? 조각마다 크기가 다르니, 조각을 고를 ... ...
파인만도 못 푼 스파게티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수 없는 이유를 수학적으로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한 것이다. 평범한 나무 막대는 양
끝
을 잡고 천천히 힘을 주면 어느 정도까지는 휘어지지만, 한계를 지나는 순간 부러진다. 나무 막대가 견딜 수 있는 ‘곡률’이 한계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여기서 곡률은 곡선이 얼마나 휘었는지 나타내는 기울기 ... ...
기상청 취재기, 예보관의 하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놓고 활발한 논의도 있었지요. 긴장된 분위기 속에 이어진 회의는 50여 분이 흘러서야
끝
이 났습니다. 총괄예보관은 회의에서 나온 내용들을 바탕으로 기상 전망과 유의 사항 등을 작성한 을 전국에 발표했어요. _ 인터뷰 “예보관의 경험을 녹여 예보를 완성합니다!”한상은(기상청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