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멋진 증명을 가리키는 말, 신의 증명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비둘기의 수가 n마리 이하고, 남아 있는 비둘기 수는 n + 1 - n = 1마리 이상이 되지요. 남아 있는 비둘기 중 1마리만 고르면, 그 1마리의 비둘기가 있는 집이 하나 있어요. 따라서 날아갔다고 가정한 비둘기까지 합쳐 2마리의 비둘기가 그 집에 있게 돼요. 물론 그 집에 그 이상의 비둘기가 있을 수도 ... ...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구의 상부 맨틀과 섞였다. 나머지 일부는 하부 맨틀에서 섞이지 않고 큰 덩어리로 남아 가라앉았다. 지금까지 LLVPs의 생성 원인으로 원시 지구의 구조가 만들어지면서 남은 잔해라거나, 맨틀로 섭입한 해양지각이 쌓인 것이라는 가설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테이아를 LLVPs의 원인으로 진지하게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아직 수학을 좋아해요. 본업은 과학사, 디지털 인문학으로 바뀌었지만, 제게 아직 꿈이 남아 있다면 수학 논문을 한 편 쓰는 거예요. 빈 종이에 증명할 정리를 써놓고 시간을 보내는 건 정말 행복한 일이잖아요. 그래서 수학을 하는 분들 주위를 맴돌면서 ‘어떻게 하면 이분들과 같이 새로운 연구를 ... ...
- [이달의 과학사] 1915년 1월 5일 우유갑 특허 승인. 우유, 유리병이 아닌 종이에 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수 있었습니다. 또 유리병의 경우 병을 재사용할 때 제대로 세척하지 않으면 세균이 남아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 문제 역시 해결되었죠. ...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일부는 적외선으로 분석했을 때 글자를 식별할 수 있었다. 즉, 잉크의 흔적이 종이에 남아있었다는 뜻이다. 다만 육안으로 X선 스캔 데이터를 보고 식별할 수 없을 뿐이다. X선 스캔 데이터 상에서 잉크가 있는 자리와 없는 자리의 차이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낸다면, X선 스캔 데이터만으로도 ... ...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먼저 해야할 일은 발표에 들어갈 자료 정리. 해당 주제로 팀원들과 수차례 회의한 기록이 남아있지만 그 양이 너무 많아 어디서부터 봐야할지 엄두가 나지 않는다. 이때 창래 씨는 문서 작성 프로그램 워드에 내장된 마이크로소프트(MS)의 ‘MS 365 코파일럿’을 활용한다. 수많은 워드, 엑셀 파일에 ... ...
- 히틀러 딱정벌레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학명에 독재자의 이름이 들어가거나, 우리나라 식물의 학명에 일제 강점기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죠. 이런 논쟁적인 생물의 학명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어요. 이름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한 딱정벌레가 있다?슬로베니아의 어느 습한 동굴에는 몸은 갈색이고 눈이 없는 ... ...
- [과학영상 읽어줌] 살아 움직이는 돌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이곳에는 비밀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무거운 돌들이 살아 있는 것처럼 움직인 흔적이 남아 있다는 거예요. 사람이나 동물이 일부러 옮긴 것도 아닌데 수십에서 수백kg에 달하는 돌들이 어떻게 움직인 걸까요? 1915년 처음 발견된 ‘항해하는 돌’은 99년 만인 2014년에서야 움직이는 이유가 ... ...
- [만화 뉴스] 달 만든 원시행성, 지구 안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가정하고 컴퓨터 모의실험을 진행했어요. 모의실험 결과 테이아의 잔해가 지구의 맨틀에 남아 거대 구조를 형성한 것을 확인했죠. 이는 실제로 약 2900km 깊이의 맨틀에서 지진파의 속도가 극도로 느려지는 암석층이 발견되는 것과 일치해요. 연구팀은 이 구조가 테이아의 부서진 조각이 녹다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영감님이 잔치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통합과학 넓히기화석 속 동물 색은 어떻게 알까? 공룡 화석은 대부분 뼈만 남아 있어요. 하지만 ‘쥬라기 공원’ 같은 영화를 보면 공룡의 생김새를 생생하게 재현해 냈습니다. 뼈로 공룡의 생김새나 색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이미 멸종한 생물의 뼈를 통해 생김새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