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입
d라이브러리
"
내식
"(으)로 총 46건 검색되었습니다.
Ⅳ 인류와 함께한 팔방미인 탄소재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brush). 이것은 탄소가 윤활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있으며 전기전도성을 가지며 내열,
내식
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브러시는 흑연만을 사용한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구리와 혼합해 사용함으로써 그 용량이 커지게 됐다.전지의 전극으로서 흑연은 아주 오래 전부터 사용돼 왔다. ... ...
3만분의 1확률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이밖에 먼지 내부 흡입 정도를 알아보는 테스트와 수밀테스트, 부식 정도를 알아보는
내식
테스트, 혹한시험과 혹서시험 등 1백가지가 넘는 테스트를 거친다.자동차 시험의 백미는 충돌시험. 우리나라는 미국 자동차안전기준(FMVSS)에 따라 차에 각종 센서를 부착한 인형인 더미(dummy)를 넣고 시속 4 ... ...
4. 반도체 제조·오염물질 처리에 획기적 활용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세라믹이나 금속분말을 플라스마내에 주입, 용사시켜 내열·
내식
, 내마모 피막 코팅을 함으로써 가스터빈이나 항공기 엔진에서 이용되는 터빈날의 수명 향상을 얻는데 이용된다.한편 초고집적 반도체인 2백56MD램의 경우 회로의 최소 선폭이 0.25㎛정도의 초미세 형상가공 기술이 ... ...
자동차 한계 도전 성능 테스트 현장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등판시험로 하천로 진흙펄길 등판시험길로 먼지터널로 등이 있는데, 이는 밀폐성
내식
성(耐蝕性) 시계확인(視界確認)등을 시험하는 곳이다.수밀시험로는 시간당 3백60㎜의 강우량을 재현한 폭 5.5m 길이 1백20m의 터널을 통과하며 차체의 물유입과 전장품의 방수성을 테스트한다. 먼지터널도 폭 5.5m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HlV감염으로 인한 장기의 기능장애에 기인한다. 이때 HIV의 표적은 CD-4림프구 단핵구
내식
세포 단핵유래세포 등이다.일반적으로 어떤 질병이 유지되려면 새로운 세포에 대한 계속적인 감염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체내에서 HIV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방해한다면 질병의 진행을 저지할 수 있을 것이다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염산 질산 황산 등 강산과 불화취소가스를 주입한 뒤 그 결과를 살피는 것이다. 현재 이
내식
성 분야에서 세계최고로 알려진 합금은 초경합금인 하스텔로이와 인코넬인데 놀랍게도 둘다 1940~1950년대에 개발된 것들이다.초경합금의 약점은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점인데 순전히 높은 코발트가(價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89년 실험치가 3백시간이었는데 이를 1천시간으로 늘리고 있지요.
내식
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강도를 크게 늘리는 것은 쉽지 않지만 의외로 실험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국 롤드 알로이사에서 이 합금에 관심을 갖고 데이터를 요구하고 있는 중입니다. ... ...
PARTⅠ 가변기구와 전자제어 전성시대 '자동차'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또 메탄올연료는 부식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연료공급계 부품의
내식
성 및 신뢰성이 커져야 한다. 또한 메탄올 연료의 연소생성물이 윤활유를 희석시키고 열화를 유발하기 때문에 실린더 밸브 밸브시트 등의 부품은 현재보다 월등한 내마모성을 가져야 한다.2000년대의 ... ...
PARTⅢ 재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주로 사용된다. 또한 포드자동차회사에서는 밸브, 밸브 스프링 등에 가볍고
내식
성과 내열성이 좋은 티타늄(Ti)합금을 활용하고 있다.■ 플라스틱엔진/50% 이상 가벼워져경량화를 계속 추구한 결과, 미국에서는 최근 플라스틱으로 흡기다기관(intake manifolds)을 대체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50% 이상의 ... ...
세계 최강 합금개발, 과연 쓸모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KM 1557이라는 세계최강의 합금을 개발한 최주박사(한국과학기술원)은 요즘 심기가 언짢다. '과장이다' '아니다'하는 주위의 논쟁이 그의 마음을 크게 ... 합금은 하스텔로이와 인코넬 617인데 놀랍게도 둘다 1940~50년대에 개발된 것들이다. 이
내식
성에서도 KM 1557은 최고의 수준을 과시했다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