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포"(으)로 총 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쓱싹~ 물로 미세먼지를 쓸어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 있답니다. 또한 1분당 최대 100L의 물을 뿜어낼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지요. 이 물대포에서 발사한 물방울이 닿은 곳은 95%의 미세먼지가 제거됐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미세먼지 사냥꾼 간다Part 1. 두둥~ 거대 공기청정기 나가신다!Part 2. 쓱싹~ 물로 미세먼지를 쓸어버리자!Part 3.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현대 군사 기술의 밑바탕이 됐다.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모든 방향으로 대포가 달린 탱크, 외부 선체가 파손돼도 안전한 이중 선체 등이 좋은 사례다. 뿐만 아니라 레오나르도는 물리학과 기계 장치의 숨겨진 원리에도 관심이 깊었다. 기계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노동력을 ... ...
-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스토코 교수는 무의식적으로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움직여 키보드를 눌렀고, 게임 속에서 대포가 발사되었답니다. 스토코 교수는 그 순간을 “나도 모르게 움찔하는 ‘신경성 안면 경련’ 같은 느낌이었다”고 표현했어요. 즉, 라오 교수의 생각이 스토코 교수의 손가락을 움직이게 한 거예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학예회에서 연극 무대의 주인공인 히어로 역할을 맡은 섭섭박사님!“두 두두두 둥~!”악당을 물리치기 위해 나타나는 순간, 더 멋지게 등장해 친구들의 주목을 받고 싶었어요.섭섭박사님은 고민 끝에 무대에 구름을 만들어 띄우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답니다.무대 위에서 구름을 만들어 날릴 방법, ... ...
- [Issue] 화려함을 디자인하는 과학, 불꽃놀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비슷하다. 커다란 수박 같은 타상연화를 하늘 높이 발사한 다음, 공중에서 터뜨린다. 대포알 하나에서 어떻게 갖가지 모양과 색깔을 띤 불꽃이 나올 수 있는걸까. 그 비밀은 타상연화 안에 박혀 있었다. 타상연화에는 할화약과, 토끼 똥처럼 생긴 작은 ‘별’들이 들어 있다. 발사대에서 타상연화를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망원렌즈는 배율이 점점 커지는 ‘실패형 왜곡’이 생기는 거야.주변을 돌아다니다 보면 대포마냥 긴 렌즈를 끼운 카메라를 들고 다니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지? 이런 렌즈가 바로 망원렌즈인데, 화각이 좁지만 상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배율이 커져서 얼굴이 오그라든 것처럼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지금처럼 사 람이나 사물을 생생하게 띄울 수 있게 됐지요. 그러니까 해적이 쏜 대포에 맞더라도 너무 놀라지 마세요. 단지 가 상이니까요! ③ 앞을 알 수 없는 미치광이 카레이싱 캔틸레버 코스터아주 오래 전인 2012년, 놀이기구 개발자인 닉 와이센 버거가 액션 영화를 보고 영감을 얻어 이 기구에 ... ...
- Intro. 진도 앞바다는 보물천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왜군을 물리친 명량대첩이 벌어진 현장이에요. 이 때문에 당시 전쟁에 사용했던 칼과 대포는 물론, 거북선이나 왜군의 배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높지요. 만약 거북선이나 왜군의 배를 발굴하게 되면 최초의 조선시대 *전함 유물로, 역사적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전함 : 전쟁할 때 ... ...
- [소프트웨어] 게임세계에선 나도 금메달~ 맞혀라, 황금과녁!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계산한 덕분이에요. 이 원리는 다트를 던져 과녁을 맞히는 게임이나 총을 쏘는 FPS 게임, 대포를 날려 상대를 공격하는 게임, 페널티킥을 차는 게임 등 물체를 목표물에 맞히는 게임 대부분에 들어 있어요.바람이 전혀 불지 않고 공기저항이 전혀 없다고 가정하면, 화살은 중력의 영향만을 받으므로 ... ...
- [재미] 매미에게도 귀가 있을까?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있습니다. 매미 바로 옆에서 대포를 쏘아도 계속 울어댄다는 게 근거인데요. 사실 매미가 대포가 터지는 소리를 듣고도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은 건 ‘매미가 들을 수 있는 소리의 범위’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곤충과 사람이 각각 들을 수 있는 소리의 범위는 다릅니다. 몸집의 크기에 맞게 청각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