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댐"(으)로 총 246건 검색되었습니다.
- 구조성공! 잠수 위험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물줄기를 추적했지요. 그 결과, 동굴로 향하는 커다란 물줄기 두 개를 찾아내고, 임시 댐을 설치해 이를 막을 수 있었어요. 동굴 내부 수위를 떨어뜨린 덕분에 잠수부를 통한 구조가 가능해졌고, 소년들을 안전하게 동굴 밖으로 꺼내는 일만 남았어요. 소년들은 체력이 떨어져 수영이 힘들기 ... ...
- [가상인터뷰] 하마의 똥, 아프리카의 강을 오염시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그 댐에 강에서 모은 하마 똥이 섞인 물 1만 6000L를 채운 다음 댐을 터뜨렸어. 그러자 댐 하류에 있는 개울의 산소 농도가 급격하게 떨어졌지. 하마 똥이 물고기 죽음의 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거야.하지만 우리가 유일한 오염의 원인은 아니야. 하마 똥이 심각한 오염 원인이 된 이유는 사람들의 물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같은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 하지만 핵실험과 같은 대규모 폭파가 일어나거나, 댐이나 저수지를 건설해 대량으로 물을 저장하는 경우, 또 광산 개발 등을 위해 지하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경우 등 인위적인 활동으로도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연구팀은 석유와 셰일가스를 ... ...
- [과학뉴스] 비버가 만든 댐, 강물을 깨끗하게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비버는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의 강에 사는 포유류예요. 나뭇가지를 모아 댐을 짓는 습성으로 유명하죠.영국 엑서터대학교의 알란 퍼톡 교 ... 물의 질소 농도도 낮아진 것이죠. 연구에 참여한 리처드 브래져 교수는 “비버의 댐이 많아지면 생태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어요 ... ...
- Part 2. 밀림 속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총 2230㎢ 넓이의 정글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사원이나 왕궁 같은 건축물과 저수지, 댐, 채석장 터 등 거대한 도시가 있었던 흔적을 발견했지요. 이뿐만 아니라 앙코르와트와 연결되어 있는 도로와 수로의 흔적도 확인했어요. 에번스 박사는 “이 유적들은 12세기에 전성기를 이뤘다가 멸망한 크메르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으키는 인간의 활동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핵실험과 같은 대규모 폭파나, 댐이나 저수지를 건설해 대량으로 물을 저장하는 경우, 광산 개발, 인위적으로 지하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경우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인간 활동으로 발생하는 유발지진의 대부분은 크기가 매우 작아서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개발하지 못했다. 반면, 임진강의 상류를 점하고 있는 북한은 10여 개의 크고 작은 댐을 만들어 전력 발전에 활용하고 있다. KISTI는 향후 이 시스템을 자연재해 예측 시스템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조 센터장은 “자연 재해 발생 자체를 막을 수는 없지만, 발생 시기와 규모를 미리 안다면 효과적으로 ... ...
- [쇼킹 사이언스] 호수 한가운데 신비한 구멍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지역에도 있어요. 미국 몬타나주의 헝그리 홀스댐이나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의 지히댐 등에도 코방 도 콘쇼스와 비슷한 배수구가 있지요. 이런 모양의 배수구를 ‘벨 마우스 배수구’ 혹은 ’나팔꽃 배수구(글로리 홀)’라고 부른답니다. 마치 거꾸로 엎어진 벨 모양이나 나팔꽃 모양을 닮았기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등을 실험하는 데 쓰고 있다. 2016년에는 K-water가 운영 중인 필리핀 마닐라 지역의 댐 내진보강공사에 필요한 비용을 산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거대한 규모에 매력을 느껴 취재를 시작했지만, 재난 기계들은 우리 삶과 동떨어진, 그저 기술력을 뽐내기 위한 장치가 아니었다. 감당하기 어려운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힘), 휨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축방향의 수축력만 작용하는 매우 안정적인 구조다. 댐을 건설해야 하는 거리가 비교적 짧은 경우 아치구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지난 6월 26일,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파나마 운하의 확장공사가 완료됐다. 기존의 수로는 파나막스급 선박(선박 길이 210~29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