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해
대양
원
원양
창해
창명
d라이브러리
"
망망대해
"(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천체를 촬영하려는 전문가 모두에게 도움을 준다. 자동도입 기능은 별들로 가득 찬 ‘
망망대해
’ 밤하늘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는 ‘내비게이션’인 셈이다. 냉각 CCD로 잡티를 제거하라 천체사진가들은 오리온대성운 같은 어두운 천체를 촬영하기 위해 여름에는 모기와, 겨울에는 추위와 ... ...
바닷물로 농사를 짓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농사라니 그게 무슨 말이여~?”
망망대해
에 홀로 떠 있어 외롭지만 평화롭던 섬‘나외로도’가 술렁이기 시작했다.“그냥 두면 안 돼~.”“그려 그려, 안 그래도 척박한 이 섬이 아예 염전으로 변해 버리면 어쩌려고….”냥냥에게 줄 물고기를 잡는다고 밤낚시를 나갔다가 배가 뒤집혀 고생 끝에 ... ...
음악이 흐르는 아바나에서 헤밍웨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쿠바. 그리고 그의 소설 ‘노인과 바다’의 무대가 된 쿠바의 작은 어촌. 끝없이 펼쳐진
망망대해
에서 낚싯대를 드리우며 헤밍웨이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 ...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바다에 퍼지므로 재빠르게 건져서 살펴봐야 해. 고래 똥 냄새를 맡는 탐지견과 함께
망망대해
에서 고래 똥을 찾는단다. "고래연구는 쉽진 않지만 고래의 보존을 위해 꼭 필요하답니다. 친구들도 바다에 나가면 눈을 크게 뜨고 고래를 찾아보세요!" 안용락(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수산연구사 ... ...
마야 멸망이 던지는 기후 묵시록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많은 나무를 잘라냈다. 벌거숭이가 된 산에는 동식물이 사라져 생태계가 파괴됐다.
망망대해
에 고립된 섬에서 파괴된 환경은 되돌릴 수 없었고 결국 수만명에 이르던 원주민 대부분이 사라지고 말았다.이런 재앙은 수백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됐다. 처음 이곳에 정착한 사람들은 수십대에 걸쳐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항로는 해안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길 잃을 위험은 없었다. 그러나 범선을 타고
망망대해
로 나가 목적지로 향하는 일은 녹록치 않았다.그래서 등장한 것이 지구 위에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를 그린 지도다. 위도는 적도에서 남북으로 잰 각거리로 북반구에서 북극성의 고도가 곧 관측 ... ...
자석으로 신약을 개발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여건이 갖춰지자 2004년 연구에 착수해 1년 만에 MAGIC을 개발했다.지금까지 신약 개발이
망망대해
를 항해하는 것이었다면 MAGIC은 항해의 나침반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이미 항암제를 포함한 2개의 신약 후보 물질을 찾았다. 내년까지 동물실험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제품 개발에 ... ...
서양 200년 앞선 세계 최고의 배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돛대가 하나 뿐이었다. 그러나 신안선은 돛이 3개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김용한 실장은 “
망망대해
에서는 바람의 방향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기 때문에 돛대가 여러 개 있을수록 오랜 항해에 유리하다”고 설명한다.또 신안선은 바닷물에 닿는 부분을 감싸는 포판재를 이용해 목선의 가장 큰 약점인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일을 겪었는지 등 지극히 사적인 내용이 실린다. 결국 개인의 사생활이 인터넷이라는
망망대해
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싸이월드의 경우 태어난 해와 이름만 알면 아는 사람의 미니홈피를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누구나 쉽게 미니홈피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올초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왔다.인류의 역사에서 16세기 무렵은 신대륙을 찾아 나섰던 대항해 시대였다. 배를 타고
망망대해
를 여행할 때 배가 현재 어디에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은 해와 달, 별의 위치를 관측하는 것이었다. 당시 남북 방향으로 여행할 때는 북극성의 고도를 재면 적도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알 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