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라진 ‘6시간’은 어디에 모였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4호
- 1년을 365일로 헤아린 채 4년이 지나면, 1년에 들지 못했던 6시간이 총 4번 생겨요. 6시간을 4번 더하면 총 24시간, 하루가 되지요. 이렇게 4년마다 만들어진 하루가 바로 윤년 2월 29일이 돼요. 2월 29일은 2016년, 2020년, 2024년, …처럼 연도의 숫자가 4의 배수★인해에만 있답니다! ...
- 대기오염 예보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수치예보 모형 종합해 예측 최근 황사보다 우리나라 대기질을 위협하는 것이 있다. 바로 미세먼지다. 미세먼지는 입자의 지름이 10탆 이하로 황사 입자보다 작다. 미세먼지는 황산염이나 질산염 같은 오염 물질로 이뤄져 있어 폐암을 유발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사망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따른 변화를 설명하는 방정식으로 전염병의 확산을 예측하는 모형을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사람, 동물을 막론하고 전염병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수학 모형인 ‘SIR 모형’이다. 이들은 SIR 모형을 이용해 1905년 인도 뭄바이와 1665년 영국의 한 마을에서 발생한 홍역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를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유전자가 인간에게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습니다. 바로 Sox2 유전자입니다. doi: 10.1073/pnas.1612354113 논문에 따르면 Sox2 유전자는 4억 5000만 년 전, 인간과 상어가 공통의 고대 조상을 갖고 있던 이래 쭉 유지돼 왔습니다. 다만 인간은 유치가 빠진 뒤 영구치가 새로 날 때 ...
- [SF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혼자 뛰어나가려는 미아의 팔을 꽉 붙잡았다. 미아가 멈칫하고 돌아봤다.“급수대가 바로 이 근처에 있어. 금방 갔다 올게!”“아니, 그게 아니라나 정말 괜찮아”“너 진짜 탈수로 쓰러진다니까?”“나 마지막으로 물 마신 지한 일주일밖에 안 됐어. 아직 멀쩡해.”“뭐?”미아는 선을 쳐다보며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까진 아직 이전 데이터가 남아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복구는 바로 이 상태의 삭제된 데이터를 다시 살리는 과정이다. 하지만 때가 늦어 새 데이터가 저장공간에 덧씌워진 경우엔 기존 데이터가 손실된다. 이때부턴 멀티미디어 데이터 복원의 영역으로 넘어간다. 조금이라도 ... ...
- [전지적 독자 시점] “머지않을 미래에 실현될 것만 같은 기대감이 있어요”_김순용 독자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달랐습니다. 40%가 넘는 압도적인 비율로 1위 기사가 선정됐거든요. 그 주인공은 바로 뉴럴링크였습니다. 전독위분들이 뉴럴링크 기사를 뽑은 이유도 각양각색이었습니다. 머지않은 미래에 텔레파시를 현실화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부터 뇌에 칩을 심으면 개인의 생각이다. 유출되지 않을까하는 ...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사용해 날씨를 예보하고 있다. 그렇다면 슈퍼컴퓨터는 어떻게 기상을 예측할까? 바로 수치예보 모형을 이용해서다. 수치예보 모형에서는 기상에 영향을 주는 기온, 바람, 기압, 대기 중 수증기의 양을 방정식으로 나타낸 뒤 시간과 공간에 따라 계산해 미래의 날씨 정보를 얻는다. 수치예보를 하는 ... ...
-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크다. 숲속 나무 밀도에 따라 산불의 진행 정도를 예측하는 수학 이론이 있다. 바로 ‘침투 이론’이다. 침투 이론은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각 구성원 사이의 연결 정도가 네트워크를 만드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는 이론이다. 침투 이론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육각형 격자 안에 ... ...
- 수학은 명탐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방정식을 푼 결과, 놀랍게도 그 사람이 일으킨 범죄 정보로 그려진 지도가 이 지역에서 바로 전년도에 실제로 일어난 범죄 장소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프로그램에서 우발적인 범죄가 일어나는 지역에 경찰을 투입하는 변수를 넣자 범죄는 곧 사라졌다. 하지만 계획적인 범죄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