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위"(으)로 총 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얼음으로 구성된 반면, 소행성은 주로 돌과 철로 이뤄져 있다.*2019 PDC : ‘PDC’는 행성방위학회(Planetary Defense Conference)의 약자다.NASA는 소행성이 가상임을 강조하기 위해 이름을 ‘2019 PDC’라 지었다 ... ...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위협에 대비하는 곳이 있어요. 바로 우주위험감시센터라는 곳이랍니다. 우리나라방위대, ‘우주위험감시센터’ “소행성이 10LD*보다 가까이 오면 빨간불이 떠요.”5월 27일,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 만난 김명진 연구원이 말했어요. 화면에는 지구와 지구 근처 소행성의 실시간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의견을 ‘우주센터추진위원회’에 제출한 뒤였다. 이는 발사 방위각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한 결과였다. 남해군 양아리 지역은 고흥군 외나로도보다 개발이 더 많이 돼 있다는 점이 불리하게 작용했다. 유명 관광지인 상주해수욕장이 인접해 안전반경을 2km 이상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160cm 다목적 휴머노이드 ‘똘망(Thormang)’을 완성했다. 똘망은 2015년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주관하는 세계 재난구조로봇 경진대회인 ‘로보틱스 챌린지’에 출전해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이 대회에서는 원자력발전소 사고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로봇이 사람 대신 사고를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실제로 비행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어요. 미사일처럼 솟아올랐다가 마하 5까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조금 특별한 극초음속 비행기를 개발하고 있어요. 극초음속 비행기는 마하 5 이상(음속의 5배 이상)으로 나는 비행기를 말해요. 로켓을 타고 미사일처럼 대기권 위로 높이 ... ...
- [안전] IoT와 드론이 만나면 안전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도와요. 주로 활주로 접근 위치와 착륙 각도, 방위각 등의 정보를 항공기로 전송하는데, 이를 ‘항행 안전시설’이라고 하지요. 드론은 사람이 점검하기 어려웠던 항행 안전시설을 점검해 항공기 사고를 예방한답니다. 사물인터넷(IoT)으로 혼잡도를 예측한다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될 수 있다. 무거운 군장을 짊어지고 수십km를 걸어도 지치지 않는다. 2009년 미국의 방위산업체 록히드마틴이 개발해 공개한 ‘헐크(HULC)’가 대표적이다. 헐크를 착용한 군인은 최대 90kg의 군장을 메고 시속 11km로 최대 20km를 이동할 수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동되는 티타늄 몸체가 무게를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날도록 해야 한다. 연료 무게만 2t(톤)에 달한다. 8년 전 발사한 천리안 1호는 유럽항공방위우주산업(EADS) 아스트리움(현재의 에어버스)과 공동으로 개발했다. 말이 공동개발이지, 서러움이 많았다. 단적인 예로 국내 연구진이 2년 동안 프랑스 아스트리움에 파견을 가 있는 동안, 아스트리움은 회사 ... ...
- Part 1. 세계는 지금 우주 요격 기술 경쟁 중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국가들은 어느 정도 수준의 우주요격기술을 갖고 있을까. 러시아는 1950년대부터 우주방위프로그램을 운영해왔으며, 1960년대에 핵미사일 요격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 이미 위성을 충분히 요격할 수 있는 수준이었지만, 핵을 폭파시킴으로써 표적 위성뿐 아니라 주변에 있는 모든 ... ...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워킹 어시스트(Walking Assist)’를 개발했다. 군사용 외골격 로봇도 개발 중이다. 미국 방위산업체 록히드마틴은 2009년 무게 90kg의 짐을 메고도 시속 16km로 달릴 수 있는 강화복 ‘헐크(HULC)’를 개발했다. 국내에서도 의료용이나 산업용, 군사용 외골격 로봇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8월 말 LG전자는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