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해"(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아주 좋은 식재료입니다. 렘 홍 밍 교수는 콩의 유전자를 분석해 외부의 방해 요인에도 잘 자랄 수 있는 개량 콩을 만들었어요. 비가 잘 오지 않는 남아프리카에서 실험한 결과, 개량 콩은 잘 자랐지요. 렘 홍 밍 교수는 전 세계 곳곳을 다니며 개량 콩을 심고 있습니다. 지난 5월 렘 홍 밍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컵까지먹을수있다! 초콜릿으로 컵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마찰력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어요. 마찰력은 두 물체가 접촉했을 때 서로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이랍니다. 이 때문에 혀에서 미끌거리는 감촉을 느낄 수 있죠. 지방층은 혀 표면뿐만 아니라 입안 전체를 감싸서, 초콜릿을 다 먹은 뒤에도 초콜릿이 입안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는 느낌이 나는 거예요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나비는 무려 1만 9000여 종에 이를 정도로 그 종류가 많고 다양합니다. 나비는 어디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을까요? 미국 플로리다대학교를 포 ... 전했어요. 그러면서 “콩과식물은 전 세계에 널리 분포돼 있고, 곤충의 접근을 방해하는 화학물질이 적어 기주 식물에 적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들리지 않아요. 그는 “이를 병원 커튼으로 쓰면 수술 후 회복한 환자들이 밖의 환자를 방해하지 않고 노래를 들을 수 있다”라고 활용 방안을 이야기했습니다. 덧붙여 “TEPIA 첨단기술관에서는 로봇을 프로그래밍하는 발명품이 많아 즐거웠다”라며, “내년에 입학 예정인 경기과학고등학교에 ... ...
- 왜 필요해?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평균 15.4초마다 이런 시야를 방해하는 장애물과 마주치는 것으로 드러났어요. 시야 방해물의 개수는 평균 57.8개에 달했지요. 어린이는 위험성에 대한 판단과 인지능력이 아직 성장하는 단계예요. 이 때문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장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서울디지털재단에서 관찰한 등하굣길의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비하면 무척 발전했네요. 그런데 왜 1년 전 시점에 해결된 연료 문제가 발사를 방해한 건가요? 정승호: 습도 때문에 그래요. 장마철이어서 공기 중 습도가 무척 높았는데, 습도가 높으면 연료가 잘 타지 않거든요. 게다가 연료의 연소를 돕기 위해 연료 가운데에 구멍을 뚫어야 합니다. 이걸 연료 성형 ... ...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싶어 한다는 게 안 교수의 설명입니다. 당연한 이야기죠. 그런데 이런 경향성이 도전을 방해합니다. 실패 확률이 있는 길을 선택하지 않는 겁니다. 학교가 학생들에게 넘버원(Number 1)이 아니라 온리원(Only 1)이 되라고 해도 학생들은 쉽게 그런 길을 가지 못합니다. 성공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에어샤워를 거쳐 먼지를 제거해야 한다. 공기중에 떠 있는 수증기나 먼지가 실험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흰 방진복을 입은 독자들은 윤혁 연구위원의 안내를 따라 실험실에 입장해 레이저 출력기나 증폭기, 레이저로 핵융합을 연구하는 고체 타겟 레이저 등의 장치를 집적 들여다봤다. 랩투어에 ... ...
- 킬 스위치로 박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알은 모두 킬 스위치를 물려받습니다. 알 중 암컷은 킬 스위치가 필수 유전자의 발현을 방해해 결국 어른인 성충이 되기 전에 죽어요. 이렇게 암컷 모기의 수가 줄어들다 보면, 자손의 수도 줄어 결국 모기가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게 옥시텍의 계획이에요. 옥시텍은 “변형된 유전자가 3세대 동안 ... ...
- 주스, 목성까지 가는데 8년이 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강한 자기장을 뿜어요. 문제는 자기장 자체가 아니라 목성이 탐사 장비의 작동을 방해하는 고에너지 입자를 강하게 끌어당기는 것이죠. 이를 극복하기 위해 ESA와 NASA는 목성 주변의 고에너지 입자의 세기를 계산하는 모델인 ‘JOSE’를 이용해 대비했어요. 이전에 목성을 탐사한 우주 탐사선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