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범용"(으)로 총 182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현재 사회적 약자를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지만 향후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범용 로봇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집에 혼자있는 아이의 표정을 읽어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로봇이 부모의 냄새를 전달하는 등 정서적 소통까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은이의 ...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큐비트를 만드는 건 무모한 도전처럼 보이지만, 성공할 경우에는 가장 안정적이고 범용성이 큰 양자컴퓨터를 개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입자 자체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입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파동 함수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 때문이다. 양자컴퓨터의 큐비트로 ... ...
-
- 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시젠 박사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어떤 범죄 현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실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범죄 행위보다는 일반적인 상황에 좀 더 초점을 맞춰 실험했다”고 말했다.실험 결과, 일상 생활에서 묻은 DNA와 범죄 행동을 했을 때의 DNA 양은 평균적으로 4배 이상 ...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다양한 변이를 일으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한 번에 예방할 수 있는 범용 백신과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신종 감염병 예방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며 “세계적으로는 암이나 당뇨병 치료 백신, 충치 백신, 피임 백신 등 새로운 백신을 꾸준히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백신을 생산하는 세 ...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단백질을 만드는 것을 방해한다. 22개 정도의 짧은 가닥이기 때문에 miRNA는 일종의 ‘범용 조절자’로 작동할 수 있다. 즉, 하나로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수십~수백 개까지 가능하다. 특정 miRNA의 변화만으로 다양한 단백질의 생성이 한꺼번에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도, ‘범용’이라는 단어에는 ‘지금은’, ‘한동안은’ 이라 는 의미가 녹아 있다. 범용 백신으로 방어할 수 있는 바이러스가 도태되고 사람들이 한시름 놓는 사이, 그 백신에 저항성을 가진 또 다른 변종 인플루엔자바이 러스가 나타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손자병법’으로 유명한, ... ...
-
- Part 1. 변종 플루 HXNX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종류가 달라도 유전적 변이가 거의 없는 H단백질의 줄기 부분을 공략해 감염을 막는 ‘범용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4파트에서 확인!)K박사는 오늘도 엄청나게 재미없는 얘기를 쉴 새 없이 쏟아내고 있다. 그런데 지난 10년을 바이러스 얘기만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은 덕분인지, 오늘따라 박사님의 ...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헤모스(HEMOS)’를 개발하고 있다.헤모스는 범용과 맞춤형 두 가지 형태로 개발 중이다. 범용은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기업체 담당자가 온라인으로 접속해서 쉽게 작업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가동하는 고성능 컴퓨터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이 KISTI의 컴퓨팅 자원을 활용할 수 ...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취약한 부위이기도 하다. 그리고 세상의 모든 기계장치가그렇듯, 용도가 너무 특수하면 범용성이 오히려 떨어진다. 다시 말해, 이처럼 특이한 구조의 손가락은 사냥하는 데에는 매우 유리하지만 사냥 외의 일을 할때는 불리하다.원래 네발 달린 동물의 손가락뼈와 발가락뼈의 기본기능은 체중을 ...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20여 년 동안 다양한 성과가 나왔다. 대표적으로, 사이먼과 앨런 뉴웰이 1959년에 만든 범용 문제 해결 알고리듬은 ‘하노이의 탑 퍼즐’을 스스로 풀 수 있었다.그러나 학자들이 꿈꿨던, 인간처럼 생각하는 지능과는 멀어도 한참 멀었다. 무엇보다, 우리가 사는 실제 세계는 기호로 치환하기엔 너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