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법인"(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무당개구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봄비 팀의 탐사 현장을 공개합니다! ※ 프로젝트 소개 : ‘시민과학풀씨’는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동아사이언스가 함께하는 연구프로젝트 지원사업으로, 생태·환경 분야 연구원들이 시민들과 함께 연구하며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무당개구리는 도시 근처 산속에 물이 고여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하고 있는 걸까요? 박쥐 탐사, 시작을 알리다! 이들의 정체는 지구사랑탐사대와 재단법인 숲과나눔이 함께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시민과학풀씨’ 박쥐 탐사 대원들이었어요. 이날 대원들은 저마다 직접 그린 박쥐 날개 그림을 손에 들고 있었어요. 일주일 전 류흥진 연구원이 온라인 강연 중 내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과학동아 l2020년 11호
- 2020년 6월 19일 국내에 등록됐다.특허 출원은 리플라 프로젝트의 계기가 됐다. 2019년 11월 법인을 세울 당시 ‘블루리본’으로 회사 이름을 지었는데 2020년 4월 플라스테이스(Plastase) 팀과 합병하고, ‘분해 효소로 플라스틱이 순도 높게 다시 태어난다(Reborn with Plastase)’라는 뜻의 ‘리플라(Repla)’로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학예연구실장을 모셨습니다! 땅속의 유적을 보기 위해선 특별한 탐사법인 ‘물리 탐사’가 필요합니다. 물리탐사는 병원에서 수술하기 전 X선 촬영이나 초음파 검사를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직접 땅을 열어보지 않고도 무엇이 있는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거든요. 물리탐사가 필요한 이유는 ... ...
- [진로체험] 자산 관리 하는 AI 비서 만든다, 권영준 블루바이저 상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같은 AI 기술을 이용해 주식이나 채권 같은 자산을 분석해서 가치를 평가하고 기업이나 법인을 대상으로 더 큰 이익을 얻기 위한 투자 계획을 짜는 자산 관리 SW예요. 투자 계획에서 그치지 않고 미래에 가치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은 자산에 투자하고, 그 가치가 어떻게 변하는지 실시간으로 ... ...
- [지사탐 열혈가족 인터뷰]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익산농업기술센터 왕우렁이 지원사업 담당자, 왕우렁이 농법으로 농사를 짓는 영농조합법인 이장님 등을 인터뷰했어요. 또, 토종 논 우렁이와 비교관찰도 했지요. Q 토종 논우렁이를 관찰한 이유가 있었나요? 외래종 왕우렁이를 농사에 이용한 뒤로 토종 논우렁이는 점점 사라지고 있어요. ...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올해도 어김없이 지구사랑탐사대의 한 해를 정리하는 수료식이 열렸어요. 우리만의 축제였던 예년과 달리, 이번 수료식은 조금 특별하게 진행됐지요. 지구사랑탐사대를 비롯해 연구자와 시민들이 모두 함께 모여 시민과학축제를 벌였답니다. 시민과학자들의 축제를 함께 즐겨 볼까요? 지사탐 ... ...
- 각성!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미래의 빅데이터 활용, AI 학습을 통해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인공지능(AI) 학습법인 ‘딥러닝’을 빅데이터 분석에 적용하면 그동안 측정하지 못했던 데이터도 새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AI가 교통 빅데이터를 학습하도록 하면 실제로 측정하지 않은 도로 구간의 데이터를 예측해 ... ...
- 법률 자문 놓고 첫 대결 AI 변호사 vs. 인간 변호사 진검승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좋은 평가를 받아서 놀랐다”고 말했다.심사위원장을 맡은 이명숙 변호사(법무법인 나우리 대표)는 “앞으로 법률 AI가 변호사를 도와 짧은 시간에 더 많은 법률 업무를 처리하는 긍정적인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향후 AI를 어떻게 활용할지가 중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INTERVIEW_뇌과학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있는 유전자 부분이 빠져 있거나 위치가 바뀌곤 했다. VGP 연구팀은 3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인 ‘롱 리드(long read)’ 방식을 사용해 이런 단점을 보완했다. DNA를 적게는 1만 염기쌍에서 많게는 300만 염기쌍 길이로 잘라서 읽은 뒤 순서대로 조립해 나갔다. 반복되는 리드끼리 이어붙이고, 이어붙인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