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변경"(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크에 파쿠르 게임방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파쿠르 시작 위치를 변수에 저장해두는 명령이에요.➍ ‘게임 플레이-게임 모드 변경’ 명령블록을 가져와 대상을 ‘자기 자신’으로 바꾸세요. ➎ ‘몹-다음 효과 부여하기’ 명령블록을 가져와 신속과 점프강화 효과를 추가하고 그림과 같이 지속 시간과 배수를 바꾸세요.➏ ‘빌더 텔레포트’ ... ...
- 사라진 골목의 시계장인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구역 도시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했다. 이후 재개발 사업 추진 방식이 수차례 변경되며 시간을 끌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재개발이 시작됐다. 예지동 시계골목의 상공인들은 하나둘 골목을 떠났고, 지난해 12월 마지막 남은 점포들까지 문을 닫으며 골목은 텅 비었다. 지난해 12월 2일 다시 찾은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무선 샤워기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옆으로 튀는 물을 막을 방법은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말에서 힌트를 얻어 계획을 변경해 봤습니다. 무선 전달을 할 수는 없지만, 대신 호스를 없애고 외부의 힘을 이용해 물을 출발지점부터 도착지점까지 고스란히 끌고 가는 건 가능하지 않을까요. (물이 옆으로 튀는 문제는 일단 ...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거야.”지구인 관점에서 보자면 틀린 말이었다. 장만은 신체 제어 코드를 3에서 4로 변경했지만 여전히 그곳에 있었다. 다온인 시각으로 보면 맞는 말이었다. 본래 장만은 테라포밍을 감독하고 관리하는 로봇이었다. 직접 현장에 뛰어든다는 건 곧 실패가 가까워졌다는 뜻이었다. 그럼에도 지구인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유튜브 간접 체험 영상,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ND)’로 공유합니다!BY-ND는 저작자와 출처 등을 표시하면 영리 목적의 이용은 가능하나, 변경 및 2차적 저작물의 작성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당첨자는 1월 1일까지ran@donga.com으로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보내 주세요. 선물을 보내드립니다! 다음Mission여러분과 친구들이 즐겨 보는 체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슬기로운 디지털 발자국 관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저작자표시-변경금지’입니다.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하는 규정입니다. 당첨자는 11월 15일까지ran@donga.com으로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보내 주세요. 선물을 보내드립니다! 다음Mission나에게 좋은 디지털 발자국이란 무엇인가요?반대로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월드 설계의 필수 조건, NPC를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➒ ➑과 같은 방법으로 다이아몬드 칼을 얻는 명령을 추가하세요.➓ ‘게임 모드 변경’ 명령블록을 가져와 게임 모드를 서바이벌로 바꾸세요. 11 ‘반복’ 명령블록을 가져와 반복 횟수를 50회로 바꾸세요. 12 ‘소환’ 명령블록의 몹에 ‘몹-몬스터’를 가져와 넣으세요. 13 ‘위치-랜덤 위치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상태를 관리한다! 자료구조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형태의 자료구조로 만들면 돼요. ‘O’ 또는 ‘X’가 추가될 때마다 자료구조의 값을 변경해야 하지요. 그리고 이차원 리스트의 자료구조를 3x3 칸의 값으로 읽어와서 승패를 판정해요. 사각형 그리드에서 동작하는 게임으로 ‘타워 디팬스 게임’이 있어요. 길 주변에 타워를 설치해 지정된 길을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이재형 대장의 총평을 들어볼까요?“저는 이 중 소행성을 밝게 만들어 궤도를 변경하는 방법이 가장 가능성이 있을 것 같았어요. 대부분 소행성은 매우 어두워 태양에서 오는 빛 입자를 흡수해요. 그런데 소행성을 밝게 만들면 태양 빛 입자를 반사시킬 수 있어요. 그러면 태양에서 나오는 빛이 미는 ... ...
- 소행성 위협 막을 첫걸음 DART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질량만큼 무거운 우주선이 소행성 인근에서 비행하며 중력으로 소행성을 당겨 궤도를 변경한다. 다만 질량이 수백만 kg에 달하는 소행성급의 우주선을 발사하기 어려워 실제 실험계획이 세워진 적은 없다. 핵폭탄 등을 이용해 소행성을 아예 파괴하는 방법도 있다. 2018년 NASA에서는 ‘해머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