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병원균"(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충치가 미생물 탓?! 충치에 관한 다섯 가지 오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질, 칼슘, 결합조직 등이 쌓여 커진 동맥경화의 한 형태)에서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발견되고, 얼굴과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의 죽종에서 치주염과 관련된 세균이 발견되곤 하니까요. 면역세포들이 마냥 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퇴치하고 남은 잔해물도 혈관 내 독소로 작용해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기 때문이다. 현재 유럽의 도롱뇽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 다른 종류의 양서류 병원균 역시 아시아 양서류 수출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연구를 이끈 매튜 피셔 임페리얼칼리지런던 공중보건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아시아 지역 항아리곰팡이의 (유전적) 다양성에서 빙산의 일각에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2006년 12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습니다. 코흐 박사의 실험이 특정한 병원균의 침입이 질환의 원인이 된다는 점을 증명한 연구였다면, 고든 교수의 실험은 인체에 공생하는 미생물의 생태계 변화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낸 기념비적인 연구 입니다. 또 무균 실험동물에 ...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유전자를 분석하는 일이 이뤄져요. 이를 통해 모기의 종류와 모기가 피를 빤 동물, 잠복 병원균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지요. 연구팀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동물에서부터 비롯되는 전염병의 확산을 막고 신종 질병을 찾아낼 계획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Part 1. ...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거의 알지 못한다”며 “카울로박터는 병원성이 없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인간 병원균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27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n535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백신은 병원균을 약하게 만든 거예요. 약한 병원균을 주사해 면역력을 갖게 되면 진짜 병원균에 감염되더라도 질병을 예방할 수 있지요.백신에는 보통 살아 있는 균이 들어있기 때문에 2~8℃를 유지해야 돼요. 그래서 백신 전문 운송 차량으로 운반하지만, 도로 사정이 안 좋은 개발도상국에서는 ... ...
- [Focus News] 햄버거병, 햄버거는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대한 판단은 검찰과 법원이 내리겠지만, 어린아이의 안타까운 사연을 계기로 흔히 듣던 병원균이 얼마나 치명적일 수 있는지 알게 됐다. 햄버거뿐만 아니라 모든 음식점과 가정에서 더 위생에 신경을 써서 음식을 조리하는 데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 ...
- [과학뉴스] 조류 독감, 인간에게 퍼뜨릴 수 있는 ‘돌연변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때 아닌 초여름에 기승을 부려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다행히 현재 유행 중인 H5N8형은 인체 감염 사례가 ... 확산되는 것을 적시에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의미를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PLOS 병원균’ 6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371/journal.ppat.100639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동물실험도 마찬가지였다. 두 그룹의 실험쥐에게 먹이는 소금량을 다르게 하고 피부병원균을 감염시켰더니 소금을 많이 먹인 쥐들의 회복이 빨랐다.연구팀은 피부가 세균에 감염됐을 때 소금을 바르는 방법으로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금을 함유한 젤 등을 발라서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보유하고 있던 균이 병원성을 가지고 있었는지 등은 알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이 병원균이 특정 지역에만 예외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닐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다. 이미 반세기 전에 발견한 항생물질인 콜리스틴은 독성 때문에 사용이 제한됐으나, 세균과 만난 횟수가 다른 약제에 비해 적었던 만큼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