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쁨
악
불량
흉함
불꽃
화염
d라이브러리
"
불길
"(으)로 총 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폴로 1호, 비운의 우주비행사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큰
불길
이 됐다. 우주비행사들은 선내와 바깥의 압력차로 해치를 열지 못한 채 그대로
불길
에 휩쓸렸다. 이 사고 이후 우주선을 대대적으로 재설계하는 작업이 이뤄졌다. 지상에서는 순수 산소의 사용이 금지됐고, 해치는 7초 안에 열리도록 설계가 변경됐다. 불에 타기 쉬운 나일론 소재의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AgO)을 가열하면 특정한 기체가 생성되고, 이 기체를 모은 용기에 불타는 성냥을 넣으면
불길
이 커지는 현상을 발견해 이 기체를 ‘불 공기(fire air)’라고 명명했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영국의 성직자 조지프 프리스틀리도 비슷한 실험을 통해 산소의 존재를 발견했다. 하지만 당시 유행하던 ... ...
불 난 노트르담 대성당, 복원될까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수도 있었기 때문이죠. 약 400명의 소방관이 지붕과 종탑 사이에 ‘물의 장막’을 만들어
불길
이 번지는 것을 막았습니다. 하마터면 856년의 역사가 순식간에 잿더미로 변할 수 있는 아찔한 상황이었습니다. 노트르담 대성당 복원 수학이 돕는다 노트르담 대성당을 복구하기 위해 현재 여러 논의가 ... ...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성분의 결정은 어떤 모습일까요? 고통의 불꽃 | 눈으로 뒤덮인 설산에 불이 나
불길
이 번지고 있는 것만 같아요. 아플 때 먹는 약 아니랄까 봐 아세트아미노펜 결정 모양도 그런 느낌이네요. 아기 손을 닮은 고사리 | 이건 눈 맞은 고사리? 같은 성분으로 만든 결정이지만 고통의 불꽃과는 사뭇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수학에서뿐 아니라 공학에서도 활발하게 쓰이며, 실제보다도 더 생동감 넘치는 파도나
불길
을 표현하는 컴퓨터 그래픽에도 활용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3차원에서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없어 수학계 대표 난제로 꼽힌다. 과학계와 산업계에서는 해의 근삿값을 구해 활용하고 있다. 도함수★ : 어떤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끄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불길
이 잡혀 더 이상 타지 않는 나무들은 검게 그을려 있고
불길
은 바람에 따라 확산되겠지요. 즉 바람이 확산제, 소화액이 억제제 역할을 하면서 점 또는 띠무늬 자국을 만들어 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튜링 모형을 산불에 적용해 불이 어디로 번질지 예측해 ... ...
[Culture] 신과 함께? CG와 함께! 지옥과 현실을 잇는 컴퓨터그래픽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1편에서 결정적인 장면에 사용됐다. 영화 초반에 김자홍(차태현)이 아이를 안고
불길
이 치솟는 빌딩에서 뛰어내리는 장면이 휴먼 스캔 솔루션으로 제작된 디지털 배우로 만든 것이다. 유태경 덱스터스튜디오 크리에이티브 개발실장은 “휴먼 스캔 솔루션에는 카메라 120대와 조명 수백 개를 장착한 ... ...
그는 건물에 무사히 닿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영화 ‘스카이스크래퍼’는 전직 FBI 최고 요원 출신인 윌 소여(드웨인 존슨)가 테러로
불길
에 휩싸인 고층 건물에서 가족을 구하는 재난 액션 블록버스터예요. 고층 건물이 배경인 만큼, 포스터에는 타워크레인에서 고층 건물을 향해 뛰어내리는 소여의 모습이 담겨있지요. 가족을 구하기 위해 ...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길목에 있던 사람이 갑자기 몸에 불이 붙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사람의 머리에서
불길
이 치솟았다는 목격자의 말로 사람들은 ‘플라즈마’라는 현상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 생각한다. 플라즈마는 물질이 아주 높은 온도에서 음전하를 띤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상태다. 이때 ... ...
[초고층빌딩] 불에 타도 끄떡없는 기둥 세워야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제거하지 않은 채로 건물을 지어 화재 시 거푸집이 열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했다.
불길
·연기로부터 안전한 ‘피난 엘리베이터’흔히 고층 건물에 화재가 나면 엘리베이터를 타지 않아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빌딩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엘리베이터가 연기가 이동하는 굴뚝이 되기 때문이다. 3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