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먹이
비료
배합사료
마초
꼴
식량
원전
d라이브러리
"
사료
"(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실에서 만든 푸아그라, 정말 먹어도 괜찮을까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얻은 혈액을 저온에서 응고시킨 뒤 원심분리로 혈청을 분리한다. 남은 태아 사체는 동물
사료
로 쓰거나 지방, 단백질 등을 추출하는 데 사용된다. 3개월령 태아에서는 약 150mL, 6개월령 태아에서는 350mL 가량의 FBS를 얻을 수 있다. 약 140g의 배양육 패티를 만드는데 50L의 FBS가 필요하다. 배양육 패티 한 ... ...
반려동물에 채식 권하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곤충
사료
는 환경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소(육우)는 단백질 1g을 생산하기 위해 8g의
사료
가 필요하다. 반면 곤충은 단 2g만 있으면 된다. 곤충은 온실가스인 메탄을 방출하지도 않는다. 분뇨 등을 관리하기 수월하고 물도 적게 사용할 수 있다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사각사각 밀웜의 플라스틱 '먹방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용기를 얻고 겨우 밀웜과 첫인사를 할 수 있었습니다.밀웜은 단백질이 풍부해 반려동물
사료
나 식용으로 사육되곤 합니다. 하지만 막내기자가 밀웜을 준비한 건 먹기 위해서가 아니라 ‘먹이기’ 위해서입니다. 2015년 9월, 국제학술지 ‘환경과학과 기술’에는 밀웜의 독특한 식사 메뉴에 대한 ... ...
[SF 소설] 당신의 신호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병실에서 악장쳤다. 이 남자가 품위 있던 내 아버지가 맞는지 의구심이 들 정도다. 평생
사료
연구나 하던 역사학자가 이렇게 무뢰한처럼 돌변하리라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 아버지 동료 학자들은 한 번 병문안을 오고는 다시는 오지 않는다. 그가 변했기 때문이다. 딸이 가장 아끼던 존재-수수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넘치는 음식물 쓰레기 석탄 대체 연료가 되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전파하는 매개원으로 알려지면서 2019년부터
사료
로 재활용할 수 없게 됐다”며 “현재
사료
생산시설마다 음식물 쓰레기가 적체된 상황”이라고 말했다.퇴비로 재활용하기도 쉽지 않다. 음식물 속 염분이 토양을 딱딱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태우는 방법도 있지만 폐기물관리법에 ... ...
[JOB터뷰] 본캐는 변호사! 부캐는 캣맘입니다! 채수지 변호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제보자가 수개월 동안 블로그에 기록해 온 것을 법원이 인정해줄 거라 생각해요. 항상
사료
통이 낙엽이나 눈으로 쌓여 있었거든요. Q이런 사건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요? 동물원이 동물을 돈을 벌기 위한 도구로 취급해도 문제가 없도록 법적으로 규제하지 않은 탓이라고 생각해요. 적은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폭력인가, 아닌가? 목줄을 맨 개를 억지로 질질 끌고 가는 것은 폭력인가? 길고양이
사료
인 듯한 그릇에 담배꽁초를 버리고 침을 뱉는 행위는 위험인가? 동물이 든 박스를 골목길 구석에 내려놓고 도망가는 행위는 폭력인가? 그렇지만 그런 애매한 상황들이 저화질 영상을 지켜보는 걸 그만두게 만든 ... ...
[한페이지 뉴스] 해조류 먹은 소는 메탄 방귀 덜 뀐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pone.0247820연구팀은 소에게 매일 약 46.7~99.4g의 바다고리풀(Asparagopsis taxiformis)을 첨가한
사료
를 먹이며 21주간 체중과 메탄 배출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소의 체중은 정상적으로 증가했지만 메탄 배출량은 최대 86.8% 감소했음을 확인했다. 해조류가 메탄을 만드는 박테리아 효소의 작용을 억제했기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자라는 붉은 해초인 ‘바다고리풀’을 소의
사료
에 섞었어요. 그 결과 소가
사료
를 소화할 때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최대 98%까지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이 해초 속 ‘브로모포름’이라는 물질이 소의 장에서 메탄가스를 만드는 효소를 억제했기 때문이죠. 이번 연구를 이끈 롭 킨리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개별 젖소 정보를 전달받아서 소의 건강상태부터 젖소의 착유 상태까지 감지할 수 있다.
사료
를 많이 먹어 젖이 많이 나오는 젖소는 그만큼 착유를 많이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식이다. 소 축사뿐만 아니라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과 닭, 오리를 기르는 양계장에도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이 이용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