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회"(으)로 총 5,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싶습니다. 과학을 공부하며 체득하는 문제 해결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는 현대 사회의 어느 분야에서나 꼭 필요한 ‘원천 역량’임을 현장에서 느낀 까닭입니다. 과학동아의 학생 독자들께서도 과학도의 ‘기술적 경쟁력’에 자신감을 갖고 다양한 진로, 분야에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재판 제도에 정착되거나 확산되진 못했다. 판결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이나 법적, 사회적 신뢰성 등의 문제로 현실에 곧바로 적용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질문을 하면 법적으로 타당하게 답하는 ‘AI 변호사’는 현실에 적용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AI 변호사란 엄밀한 의미에선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그 자체를 위해 이뤄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목적을 위해 과학기술 연구를 이끌어왔던 사회 분위기는 지금도 남아 가시적인 성과를 요구합니다. 2015년, 서울대 공대가 ‘2015 서울대 공대 백서’를 통해 “단기성과와 양적지표로 평가받는 교수들이 만루홈런(고위험고가치 연구)을 치는 타자가 아닌 ...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러시아에서 살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왕립 학술원의 교신 책임관으로 일했다. 사회적으로 성공하며 수학 연구에 계속 집중하지는 못했지만, 지위 덕택에 유럽의 수많은 일류 수학자와 편지로 교류했고 특히 오일러와는 30년 이상 편지를 교환했다. 오일러는 골드바흐가 보낸 편지 내용에 ... ...
- DVD 복제는 안 돼! 불법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코드를 소수로 만들었다. 소송에 다뤄지는 숫자가 수학계에서 관심을 받는 소수면 사회적으로 파장이 클 거라는 생각에서였다. 그래서 1401자리의 소수를 16진법으로 바꿔 코드를 만들었다. 당연히 이 소수 코드 역시 미국에서 불법으로 여겨지면서 ‘불법 소수’라고 불리게 됐다. 물론 이에 대해 ... ...
- [에디터 노트] AI, 로봇 체인저의 등장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인공지능(AI)이라는 ‘로봇 체인저’가 나타났습니다(네, 온 사회를 바꿔놓을 거라는 AI가 로봇까지 바꿉니다). 테슬라를 비롯한 세계 연구팀들이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AI 로봇들은 그동안 연구했던 ‘지능형 로봇’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AI로 학습하고, AI로 생각해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공론화가 필요하다. 로봇이 어떻게 설계제작활용돼야 할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사회 구성원들의 가치와 기준이 잘 투영된 로봇윤리헌장이 필수적인 시기다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싶어도 비용적으로 불가능한 상황도 있습니다. 2023년 11월 21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회사 불룸버그 뉴에너지파이낸스가 발표한 ‘2030년까지 전 세계 재생에너지 3배 증가’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용량을 3배 확대하기 위한 비용은 총 11조 5000억 달러(1경 5116조 7500억 원)로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신호를 찾고, 이를 분류해서 지프의 법칙을 따르는지 살펴본 거죠. 이 동물들은 복잡한 사회생활을 하고, 주된 의사소통 수단으로 ‘소리’를 사용하는 동물들입니다. 논문에 따르면, 자주 등장하는 특정 음성 신호의 발생 빈도를 함수화한 결과는 반비례 함수였습니다. 해당 반비례 함수에 로그를 ...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작가의 ‘타디그레이디드 피플’은 SF의 오랜 테마 중 하나인 기계화된 인간들의 미래 사회에, 혐오와 차별이란 시의성을 가진 주제를 설득력 있게 결합시켰다. 심사위원들은 먼 미래의 지하도시에서 살아갈 인류에게도 혐오와 차별이 유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 작품이 면밀히 포착했다는 점에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