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낙조
해질녘
일몰
저녁볕
해거름
저녁놀
썰물
d라이브러리
"
석양
"(으)로 총 4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이날 통과하고, 7일은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칠석이다. 17일은 수성이 저녁 서쪽 하늘
석양
속에서 동방 최대이각(26도 41분)에 이른다. 밝기 0.4등급, 시직경 7.9초로 1백배 정도의 배율이면 반달 모양의 수성을 볼 수 있다.알데바란 성식동틀녘에 월령 26일의 그믐달이 황소자리 1등성 알데바란을 ... ...
헤라클레스에게 패배한 사자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이날 수성을 태양의 동쪽 18°32′까지 가장 멀리 떨어지게 돼 해가 진 후 서쪽 하늘의
석양
속에서 잠시 모습을 드러낸다.서울에서는 일몰 후 10분 뒤인 오후 6시 53분에 지평선에서 고도 15°43′높이에 떠 있는 수성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금새 가라앉아 7시 10분이 지나면 보기 어렵다. 이때 근처에서 ... ...
말레이시아 시파단섬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세계 수중사진가들이 꼭 다녀가는 아주 아름다운 곳이다. 붉게 물들이며 떨어지는
석양
을 보며 맥주 한잔 기울이는 것은 정말 일품이다. 해구와 해면해구는 깊은 바닷속에서 움푹 들어간 좁고 긴 지형을 말한다. 맨틀의 대류로 인해 지각이 끄려들어가 생긴 것으로 본다. 해면은 바닷속 경사진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1마리 등이 관찰됐다.5시 30분. 탐사팀이 자리를 뜨려 할 때 가창오리 3천여마리가
석양
을 가르며 날고 있었다. 몇년 전까지 주남저수지는 가장오리가 가장 많이 머무는 장소였다. 그러나 지금은 수천마리에 불과하다. 탐사팀이 감탄사를 연발하자 조교수는 "이정도는 약과"라며 이틀 후 수만마리의 ... ...
1. 남극의 자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여름이 돼도 해안은 0℃ 정도이고 , 내륙은 영하25℃-영하40℃로 여전히 춥다. 사진은
석양
에 세종기지에서 바라본 위버반도.2 백시현상눈 덮인 설원을 보거나 하늘에 고르게 낀 구름을 볼 때 인간은 의식을 잃는다. 이러한 현상을 백시현상(whiteout)이라고 하는데, 남극에서는 이런 현상이 잘 일어난다.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들판은 버려진 듯 보였고 곧 내려앉을 듯한 낡은 자동차들은 가까스로 움직여 나가는
석양
의 군상들과 같았다. 그런데 1년 후 다시 보니 똑같은 계절의 푼타아레나스는 새롭고 화려하고 윤택하고 찬란한 빛 속에 솟아오르고 있었다. 물 흐르듯 잎 위를 미끄러지는 햇빛과 풀잎 위로 부드럽게 ... ...
남반구 밤하늘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네배가 넘는 큰 성운이지만 맨눈으로는 단지 하얀 성운처럼 보인다.⑨ 남반구의
석양
과 초승달1995. 2.3 블루 마운틴, 펜탁스 ME super 200㎜(f 4), 필름 코닥에타크롬 400남반구는 달의 모습도 북반구와는 다르다. 저녁 하늘에서 보이는 초승달의 모습이 마치 북반구의 그믐달처럼 좌측이 볼록하게 나와 ... ...
카파도키아 암반동굴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늘어선 신비스런 모습은 지금까지 잊혀지지 않는 대단한 장관이었다.특히 일몰시 붉은
석양
빛을 받은 암석들은 제각기 고유의 빛을 발산해 더욱 놀라게 했다. 황금빛 붉은빛 회색빛 등 현란한 암석의 빛은 매우 신기했다. 마치'내가 딴 세상에 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조차 들었다. 원추형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큰 무리가 없다. 동화속 어린왕자처럼 누구나 앉아있는 의자를 뒷쪽으로 얼마간 움직여
석양
을 볼 수 있는 크기인 것이다.조셀린 벨이 1.33초 간격으로 중성자별에서 오는 전파신호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중성자별이 1.33초 주기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매우 빠른 회전이다. 지구만한 별이 시계 초침이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기지의 색깔을 달라보이게 하기 위한 것. 태양빛을 많이 받을 때는 밝은 구리색이 되지만
석양
에는 짙은 갈색으로 변한다.실제로 이 달기지가 달 표면에 세워진다고 할 때 지구에서 망원경으로 살피면 기묘한 색의 마술이 펼쳐질 수도 있다. 이곳 달기지의 건축 자재는 항공기 동체 소재로 쓰이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