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고
공포
성명
공표
브레즈네프
언명
천명
d라이브러리
"
선언
"(으)로 총 537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만들어진 어린이날
선언
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검토하며 독자들과 함께 새로운 어린이날
선언
을 썼답니다. 그 이야기를 영상을 통해 만나 보세요! ●영상 제목다시 쓰는 어린이날
선언
... ...
[특집] 새로운 기술로 더 편리하게 수학으로 더 정확하게!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아랑곳하지 않고 슈팅을 했고 공은 골망을 갈랐어요. 그런데 부심의 오프사이드
선언
에도 주심은 이를 골로 인정하면서 엄청난 논란이 일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월드컵에서는 최초로 오프사이드 판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과연 어떤 것일까요?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 ...
[특집] 2022 우리가 다시 쓰는 어린이날
선언
!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1922년 을 읽고 어떤 생각이 들었나요? 지금과는 다른 이야기도 많았을 거예요. 우리가 지금 다시 어린이날
선언
을 쓴다면 어떤 내용이 들어갈까요? 2022년 5월, 어린이 독자 508명이 직접 어린이날
선언
을 다시 썼어요. 그중 100개를 여기에 공개합니다! ...
[특집] 어과동 독자라면 도전! 어린이 능력고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없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표현 같아. 행복 영역 5. 다음은 1922년 발표된 ‘어린이날
선언
’ 중 일부입니다. 이중 당시 실제로 발표되지 않은 문장을 고르세요.① 어린이를 거짓말로 속이지 말아 주세요.② 너무 공부만 시키지 말고 자유를 주세요.③ 장가와 시집을 보낼 생각하지 마시고 사람답게만 ... ...
[특집] 100주년 어린이날
선언
을 다시 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어린이날 특집, 시작합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100주년 어린이날
선언
을 다시 쓰다!Part1. [특집] 어과동 독자라면 도전! 어린이 능력고사Part2. [특집] 어린이날, 어떻게 만들어졌을까?Part3. [특집] 2022 우리가 다시 쓰는 어린이날
선언
!Part4. [특집] 노키즈존, 헬린이, 잼 ...
[특집] 어린이날,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첫 ‘어린이의 날’을 만들었습니다. 이와 함께 어린이를 보호하자는 내용의 ‘어린이날
선언
문’도 발표했지요. 이때부터 어린이날은 어린이의 권리를 되새기는 날로 지금까지 전해진답니다 ... ...
[공지] 5월은 어린이의 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022년은 방정환 선생이 몸담고 있던 천도교소년회가 처음으로 어린이날을
선언
한 지 딱 100주년이 되는 해예요. 어린이날을 지정한 뜻에 따라 어린이들이 현재 존엄성을 존중받으며 행복하게 살고 있을까요? 이런 고민을 해보며 이벤트에 참가하고 선물도 받으세요! 어린이 성우에 도전하세요 ... ...
[슬기로은 세특 생활] 내신3.9로 고려대 간호대학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관련된 영어 표현을 발표하는 활동에서 본인의 관심사에 맞추어 나이팅게일의 간호
선언
문을 원문으로 낭독하고, 글에 활용된 비유 표현에 대해 발표함. 나아가 영문식 비유 표현의 특징을 조사하고 예문을 만들어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치 있는 표현에 대해 발표함으로써 친구들의 호응을 ... ...
[기획] 시대에 휘둘린 ‘정치적 에너지’의 흥망성쇠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이어 “우리나라는 문 전 대통령이 당선된 지 2개월도 되지 않아 업계의 의견수렴 없이
선언
된 것”이라며 “원자력 전문가나 산업부 등이 문제를 제시해도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갈등조정도 없었다”고 했다.박 수석연구원은 “독일의 경우 인접 국가인 프랑스가 원자력발전을 통해 생산하는 ... ...
[기획]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원전 산업계와 관련 없는 세부전공을 택하는 학생도 늘었다. ‘탈원전’이라는 정책
선언
이 ‘탈원자력공학’으로 변모하는 순간이었다.재완씨는 KAIST에서 학과 설명회를 할 때(KAIST는 입학 후 과를 정하는 무학과 제도를 운영함)를 떠올렸다. 공식적인 자리였다. 자신 있게 1학년들에게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