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겁
무기력
신경 이상
d라이브러리
"
소심
"(으)로 총 68건 검색되었습니다.
편안한 눈, 즐거운 귀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시원하게 뛰어 달라고 부탁했다는 우스개소리가 있다. 9층도 당해 보라는 8층 아주머니의
소심
한 복수극이다. 아파트 위층에서 나는 소음을 뜻하는 ‘층간소음’은 좀처럼 줄지 않는 공해 중 하나다. 위층에서 일어난 충격음은 아래층 천장을 지나 공기를 통해 낮은 소리의 음으로 들린다. 바로 ... ...
개과천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짖고 만지려고 하면 물기도 한다. 이웅종 소장은 “주인보다 뒤처져 걷는 개는 성격이
소심
하고 두려움이 많아 낯선 사람이 다가오면 자신을 해치려 한다고 생각한다”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짖거나 심할 경우 사람을 공격한다”고 설명했다. 사람과 개 사이의 통역기, 목줄과 ... ...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뿌리깊었던 당시로서는 과격한 사상이었다. 이런 주장를 편 다윈이라는 인물은 그러나
소심
한 은둔자였다. 비둘기를 키우고 딱정벌레를 채집하면서 시골에서 연구와 독서로 평생을 보내며 시대를 앞서는 책들을 계속해서 펴냈다.물론 다윈이 시대를 앞서게 된 데는 청년시절 5년에 걸친 ... ...
[생물]혈액형 유전자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글쓰기에 관심이 많아 여러 매체에서 과학, 경제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A형은
소심
하고 B형은 자기 주장이 강하다? 혈액형에 따른 성격분석이 과학적인지 따져봅시다. Q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혈액형 성격학은 1927년 일본에서 시작돼 1980년대 노미 도시타카에 의해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생활을 하는 지역의 평균 넓이를‘행동권’이라고 부른단다. 행동권은 동물마다 달라.
소심
한 너구리는 이동하는 거리가 짧아 가로세로 900m 범위(0.8㎢) 안에서 주로 생활해. 우리 삵은 너구리보다 네 배 넓은 가로세로 1.9㎞(3.7㎢) 안에서 활동하고, 멧돼지는 가로세로 2.3㎞(5㎢) 범위에서 살지. ... ...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의 극단 생태계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자리에 분리된 선으로 된 자취를 남긴다.이 녀석들이 사냥에 임하는 자세는 오히려
소심
하다. 모래 바로 밑에 들어가 숨어서 눈만 내놓고 먹이를 기다린다. 먹이를 보면 꼬리 끝을 흔드는데 도마뱀인 경우 이를 먹이로 착각해 뛰어들다가 변을 당한다.사막의 이런 특이한 생명체들을 찍으면서 나는 ... ...
신세대 심리코드 우리 결혼했어요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우리는 이 프로그램을 보며 연애 전략을 업그레이드 하는 셈이다.거절당할까 두려운
소심
커플 앤디&솔비앤디와 솔비는 이미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물었다. 솔비는 방송에서 “늦은 밤 집에 돌아갈 때 앤디 오빠에게 전화하고 싶어진다”고 고백했다. 그러나 그녀는 전화를 못했다. 솔비는 ... ...
우리 집 뒷강에 물귀신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빠가빠가~.”오늘도 어김없이 들리는 이상한 소리에 잠을 이룰 수 없는 나
소심
군. 집 뒤를 흐르는 강에서 언제부턴가 이상한 소리가 들리기 시작 ... ”동자개에게는 동자개 식으로 사과를 해야 한다며 겨드랑이를 펄럭펄럭 움직이는 나
소심
군. 꽤엑! 겨드랑이 냄새에 동자개가 죽겠어~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부질없는 일을 하며 보낸다면 미술전 대상을 꿈꾸며 작업에 몰두하고 있는 가난하고
소심
한 화가보다 불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행복을 증대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의도적인 활동’을 찾고 있다.싫증 없는 삶을 위해“아무리 아름다운 여자라도, 매일같이 쳐다보면 지겹고 싫증나게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노력과 함께 국가 차원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과감해진 ‘네이처’,
소심
해진 ‘사이언스’“최근 CNS 저널을 보면 거의 매주 줄기세포 논문 한두 편은 실려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저자는 없지요.”김계성 교수의 지적대로 최근 미국과 일본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줄기세포 연구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