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스케일"(으)로 총 12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오로라의 원인 ‘자기 재결합’ 첫 관측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현상이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선에 포착됐다.NASA는 지난해 3월 발사한 지구자기권 다중스케일(MMS) 위성이 10월 16일 지구 자기장의 경계면을 통과하던 중 자기 재결합 현상을 포착했다고 밝혔다.자기 재결합은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큰 에너지를 방출하는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4개의 위성군으로 구성된 지구자기권 다중스케일(Magnetospheric Multi-Scale, MMS) 위성을 지난해 3월 발사했다. MMS 위성은 지구 주위를 돌면서 자기권 플라스마의 밀도, 온도, 자기장, 전기장을 직접 측정하고 있다. 위성이 4개나 되는 것은 사면체 꼴로 대형을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개별 공간은 칸과 칸의 조합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아무리 큰 저택이라 해도 휴먼 스케일이 깨지지 않는다. 2 뜨거운 햇살도 막아주니까한옥의 기둥 밖으로 나온 처마는 여름에 햇빛을 막아 준다. 하지만 겨울에는 햇빛을 막지 않아야 한다. 중부지방을 기준으로 하지 때 태양의 입사각은 약 76°고,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미시와 거시 세계에서 물체가 일관되게 움직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체는 나노미터(nm) 스케일로 작아지면 구조와 성질이 완전히 달라진다. 예컨대, 금 덩어리는 노란빛을 띠지만 나노미터 크기의 금가루는 빨간색이나 보라색을 띤다. 다행히 3년 뒤, 미국 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CSAIL) ... ...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초대칭성이 깨질 때의 에너지 스케일에 상당하는 질량을 가지게 된다. 이 에너지 스케일이 우리 우주의 현재 상태보다 매우 높으면 보통의 실험에서는 초대칭 입자들은 발견되지 않는다. 그래서 LHC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약 LHC의 에너지가 초대칭 입자들의 질량에 이르면 우리는 그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모두 가능합니다.”┗ 그런 공간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시간에 따라 우주의 스케일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즉 공간이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다는 말이죠. 그 정도는 우주의 에너지 밀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아인슈타인은 처음에 반대했다던데요.“아마도 결론이 뜻밖이다 보니 선입견 ... ...
- [과학뉴스] 물에 햇빛 쪼이니 수소가 펑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자동차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글로벌프런티어사업단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케미’ 8월 2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 GALAXY는 WARP중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예가 은하 끝이 마치 치마 주름이나 만두피 끝자락처럼 쪼글쪼글하게 접혀 있는 ‘스케일러핑’ 현상이다. 김성수 교수는 “우리은하의 원반 끝에서 발견한 현상으로, 아직 원인은 전혀 모른다”며 “원인을 밝히면 교과서에 기재될 거라는 말이 있을 만큼 최근 주목 받고 있다”고 말했다.유령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미국은 큰 나라다 보니 지리공부도 할 수 있었고, 넓은 세상을 보면서 편협하지 않고 스케일이 큰 사고방식을 기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아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과학자 되고 싶었다” 미국 굴지의 항공 기업 연구원 생활 접고 우리나라 항우연 선택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마치고 연구조교 ... ...
-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스스로 그린 그림을 일명 변분미술(Variational Art)이라고 한다. 변분미술은 서울대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의 김윤영 교수님이 개척한 분야로, 수학과, 공학, 미술의 합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김윤영 교수님은 원래 자동차나 비행기의 설계를 연구하는 공학자다. 어떻게 변분미술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