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스크린"(으)로 총 5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기자단] 쌀알이 살아있네~ 햇반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직접 찾아가는 대신 온라인을 통해 구석구석 투어해보는 시간을 가졌어요. 커다란 스크린 너머로 햇반 뮤지엄에 있는 고은애, 장수임 큐레이터 두 분이 독자 기자들을 반갑게 맞아 주었지요. 랜선 여행의 목적지인 햇반 뮤지엄은 2019년 6월에 문을 연 체험 공간이에요. 상암월드컵경기장 69배에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벤져스 : 엔드게임 속 CG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만큼은 반드시 영화관에 가서 봤답니다. 히어로들의 화려하고 호쾌한 액션은 거대한 스크린으로 봐야 제 맛이니까요.이렇게 눈이 호강할 수 있는 이유는 모두 컴퓨터 그래픽(CG) 덕분이에요. 현실에선 절대 벌어질 수 없는 일도 컴퓨터 그래 픽을 거치면 현실이 되잖아요. 이젠 기술이 너무 발달해서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맺었다. 나로호 발사 후 137초경 갑자기 나로호와의 통신이 두절됐다. 발사통제동의 대형 스크린에 실시간으로 그려지던 나로호의 비행궤적이 갑자기 멈췄다. 발사대에서 남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약 68km 고도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난 것이다. 당시 나로호는 초속 1.7km로 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폭발이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셈법 등을 뜻하는 알고리즘과는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관객의 행동이나 표정을 인식해 스크린 속 영상이 바뀌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면, 관객의 행동이나 표정이 입력값이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결괏값으로 하는 알고리듬을 만들어야 합니다. 예술가가 작품을 통해 나타내고 싶은 메시지는 ...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맞게 개선하자는 것이다. 기술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애플은 수중에서 터치스크린 조작이 가능한 새로운 감압 센서에 관한 특허를 2월 말 새롭게 발표했다. 과학덕후들이 제안한 정책(공약)은 이처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국민의 안전과 생활편의를 증진시키는 데 집중돼 있었다(4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뼛속까지 새겨지는 수학공부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기호로 모든 걸 표현하는 추상적인 수학은 이해조차 힘들어 기억하기 더 어렵거든요. 스크린으로 보는 영화와 실제 사람이 움직이는 연극을 볼 때 느끼는 문화적인 충격이 다르잖아요. 수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본인이 몸으로 움직이거나 친구가 움직이는 걸 보면서 배운 개념은 절대 잊을 수 없죠 ... ...
- [과학뉴스] 갑오징어도 3D 영화 즐길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갑오징어는 새우가 실제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제작된 3D 영상을 봤을 때 스크린에 가까이 다가갔어요. 그러곤 바닷속에서 사냥하던 것처럼 영상 속 새우에게 촉수도 쏘았지요.이에 대해 미네소타대학교 팔로마 곤잘레스 벨리도 조교수는 “이번 실험으로 갑오징어도 양쪽 눈에 들어오는 ... ...
- [에디터노트] 수소의 꿈, 상상의 힘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도요다 사장이 이렇게 얘기하고 있을 때 그의 뒤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에서 도요타의 수소연료전지차 ‘e-팔레트’가 우븐 시티를 돌아다녔다. 심지어 자율주행이었다. 수소차는 수년 내에 기술적 상상의 시대를 끝내고 현실로 다가올 가능성이 높아졌다.‘필요는 발명의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휴대용 컴퓨터가 등장한다. 주인공들은 이를 통해 뉴스를 보고 영상통화도 한다.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점이 현재의 태블릿을 연상시킨다. #5. 투명망토 상상역대 최고의 인기 소설로 꼽히는 ‘해리 포터’ 시리즈에는 독자의 눈을 휘둥그레 하게 만드는 마법 물품이 수없이 많이 ...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축구 경기가 열린 이곳은 축구장이 아닌 대전 KAIST 학술문화관 정근모홀. 축구장은 스크린이, 관람석은 강의 테이블이 대신했다. 올해로 2회를 맞은 KAIST ‘AI 월드컵 2019 국제대회’를 직접 관람해봤다. 선수는 5명, 전·후반 10분 경기올해 대회에는 11개국에서 21개 팀이 참가했다. 이 가운데 한국, ... ...
이전12345678 다음